히포크라테스 선서 법의학 교실 시리즈 1
나카야마 시치리 지음, 이연승 옮김 / 블루홀식스(블루홀6)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개인적으로 의학소설은 매우 관심이 없다. 복잡한 의학용어에 휩쓸리다 보면 난해하게 느끼는 터라 가급적이면 기피하는 편이다. 하지만 나카야마 시치리의 소설이라면 차원이 달라지는 게 아닐까. 경이적인 속도로 작품을 집필해내는 솜씨가 히가시노 게이고랑 쌍벽을 이루는 것 같고(손가락에 모터를 단 게 아닌지 ㅋㅋㅋ) 본인이 쓰고 싶은 걸 쓰는 게 아니라 모두가 읽어보고 싶은 이야기를 쓴다니까 나조차도 그의 작품들에 하나하나 길들여지나 보다.

 

 

우라와 대학 법의학 교실에 연수의로 들어간 첫날에 마코토캐시로부터 당신, 시신은 좋아합니까?”란 말을 처음 듣는 순간에 꼭 나보고 하는 소리처럼 들린 것 같은 이유가 그래서였을지도. 그 질문이 꽤나 인상적으로 들리기도 하고 캐시란 이 미국여자부터가 수상쩍다. 시신만 바라보며 연구하는 법의학이란 학문자체가 일반인에게도 생소한 것은 당연한데 살아 있는 환자를 살리는 일이 급선무라 생각되는 의료계 현장에서 시신은 이미 손쓸 겨를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인식 자체가 일반적일 테니까.

 

 

곧 이어 법의학의 최고권위자인 마쓰자키 교수와 사건현장에서 늘 사법해부를 주장하는 고테가와 순사부장을 만나게 되는데 이제부터 산 자와 죽은 자의 경계를 넘나드는 다섯 건의 죽음에 얽힌 진실을 밝히는 여정에 동참한다. 단순한 사고사가 아니라는 죽은 자의 목소리를 사법해부를 통해 듣게 되는 에피소드들이 하나같이 몰입감 쩐다.

 

 

우리나라는 어쩌면 더 심할 지도 모를 부검의의 열악한 현실. 배정된 예산은 한정되어 있고 처리할 시간은 늘 부족해서 시신 대비 부검 건수가 현저히 적다 보니 정말 진실구명이 요구되는 억울한 죽음들이 상당히 많을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그냥 묻히는 시신들이 얼마나 많을까. 부검의와 경찰 관할권까지 묵살해가며 필요하다면 메스를 과감히 드는 마쓰자키 교수는 인간적으로는 까칠한데다 독설의 제왕이지만 귀신같은 실력과 의혹 앞에 타협 없는 순수한 양심 등이 늘 현실과 갈등을 빚으면서 놀라운 재미를 안겨주었다.

 

 

이미 고인이 된 시신을 훼손하지 않으려는 유족 측의 당연한 입장을 십분 이해하면서도 설득을 통해 해부에 대한 의지를 반드시 관철하겠다는 법의학 팀의 분투가 늘 손에 땀을 쥐게 하니까 잠시로 눈을 뗄 수 없었던 것이다. 캐릭터 모두 맘에 들지만 캐시 팬들턴 조교수는 정말 엉뚱한 매력이 철철. 그 흔한 설정으로 미인이 아니어서 더 좋았고 미국인으로서 일본문화와 정서에 가끔씩 녹아들지 못해 일어나는 촌극들과 대사 모두가 사랑스럽고 익살스럽다는 ㅋㅋㅋㅋㅋㅋ

 

 

아직 읽어야 할 나카야마 시치리의 작품들은 좀 된다. 책태기가 생긴 요즘에 그나마 불씨를 남겨준 그에게 감사하여 부디 쓸데없이 현혹하며 시간을 낭비하게 만드는 책들은 없었으면 한다. 그에게 좀 더 집중하기 위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