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을 사랑한 소년 스토리콜렉터 60
안드레아스 그루버 지음, 송경은 옮김 / 북로드 / 2018년 1월
평점 :
절판


연쇄살인범들의 정신세계는 언제 들여다봐도 극단적으로 죄책감이라곤 찾아보기 힘든데다 그들만의 범죄성향을 분석하여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지가 이런 소설의 관건이 되는 것 같다. 그런 차원에서 본다면 오년 전과 현재의 이야기가 교차로 진행되는 이번 소설은 우리가 그토록 두려워 벌벌 떨게 만들었던 일련의 어둠을 격리했다고 해서 언제까지나 낮이 지속되리라는 보장이 없음을 등골 오싹하게 증명한다고 볼 수 있겠다.

 

 

프로파일러 슈나이더가 한 남자의 교도소 수감을 지켜보는 것으로 시작된다. 범인을 검거했음에도 불구하고 슈나이더의 불안한 마음은 좀처럼 가시지 않았다. 이 교도소는 오직 기차나 경찰 보트로만 갈 수 있는 외딴 섬에 소재하고 있는데 온갖 사이코패스 범죄자들만 가둬 놓고 어떤 교도행정 실험을 하고 있는 곳이란다. 교도소장의 설명을 듣자니 과연 그런 식으로 교화가 가능할까란 의구심이 처음부터 들 수밖에 없다.

 

 

일급보안을 자랑한다지만 그래도 으스스한 이 곳에 한나라는 여성 심리치료사가 방문하는데 경력일천한 그녀가 전임자의 죽음이 아니었다면 이 곳에 올 수 있었을까? 우연한 기회였나? 한나가 맡은 재소자는 세 사람. 하나 같이 상종 못할 정신이상 범죄자들이지만 그중에서도 특피트 판 론이라는 남자를 주목하라. 피트는 오년 전 슈나이더가 잡아넣은 연쇄살인마였고 다른 재소자들과 남다른 사악함, 영리함으로 한나와의 상담에서 숨길 수 없는 마각을 드러내게 된다.

 

 

그리고 바깥세상에서는 슈나이더와 일면식 있는 사람들이 차례차례 살해당하기 시작하는데... 물론 오년 후의 이야기이다. 잔인하게 희생당한 시체들에는 어떤 기호인지 수식인지 알 길 없는 의문의 흔적들이 남아있고 이것들의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밝혀내려고 슈나이더자비네는 골머리를 싸맨다. 그러고 보니 살인패턴이 누군가를 연상케 한다. 감옥에 있는 그 남자? 설마??

 

 

오년 전과 현재가 왜 번갈아 교차되는 까닭은 바로 살인마가 누군지에 대한 단서를 독자들에게 친절히 설명하기 위함이었다. 그 방식이 아니라면 이 현상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꽤 자연스럽게 섞었기에 한동안 다른 원인을 나름대로 찾아보려 애써야 했다. 한나자비네피트를 번갈아 면담하는 장면에선 특히 그랬다. 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거냐고. 그렇게 속아 넘길 수가 있을까란 의문도 잠시 들기는 했지만. 사전작업 만큼은 오호라.

 

 

단지 연쇄살인마의 폭주였다면 시시했을지는 몰라도 살인패턴의 고리에 얽힌 비밀을 넘어 슈나이더의 특정 개인사와 연관된 기승전결이야말로 이번 시리즈의 하이라이트였다. 헉 소리가 절로 나올 만큼의 반전이란 이런 경우를 두고 하는 말이렷다. 그것은 참으로 안타깝고 또 안타까운. 슈나이더란 이 남자에게 닥친 감당 못할 불행은 자비네의 생사와도 직결되니 예상 못한 행동이었고 선택이다.


 

이 최후의 선택으로 인한 트라우마는 향후 슈나이더의 정신세계를 죽을 때까지 지배할 것이다. 시리즈는 계속될 터인데 두고두고 회자될 결말 이후 슈나이더는 다시 재기할 수 있을까? 그는 후회하지 않을까? , 정말 가엾다. 이 남자를 우째 마지막으로 덧붙이자면 다람쥐 양은 어린 조카들한테 제발 그러지 말자. 애들 정신건장에 해롭다. 이모가 되가꼬 이 무신 해괴망측한 짓이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