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2019 제43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김초엽 지음 / 허블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

성년식을 하게 되면 시초지로 순례를 떠난다는 풍습이 그 마을엔 있었다. 시초지란 어떤 곳이 길래 떠난 순례자들 중에서 소수만 다시 돌아오는 걸까? 데이지는 진실을 확인하고자 성인이 되기 전에 마을을 떠난다. 그녀가 알아낸 바로는 지구와 지구 밖 마을(자신들이 살고 있는 곳)이 있고 지구는 우월하면서 특별한 신체로 개조된 신인류들이 거주하는 유토피아와 신체를 개조하지 않아 열등하다고 차별당하는 비개조인들이 거주하는 디스토피아로 다시 구분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순례를 떠났다가 귀환한 남자가 울고 있었던 이유를 듣고 나서는 그래도 이 마을일까, 아니면 지구일까... 지구인의 한 사람으로서 나라면 어떤 선택과 결정이 후회 없을지 확신이 서지 않았다. 평등이라는 획일성과 차별이라는 다양성일지.

 

 

<감정의 물성>

아마도 가장 마음에 든 단편이 아닐까 한다. 다른 단편들에 비해 소설다운 것 같거든. 비록 공상과학소설이라는 외피를 두른 채, 기술을 도구로 다루고 있어도 그 점이 거슬리지 않는 이야기였다. 어차피 소설은 창의성을 요한다지만 이런 접근은 감히 예상치 못했거든, 감정 차체를 조형화한 제품이라니 신선하지 않은가. 이것은 마치 지우개 같기도 하고 사무실 책상 화초를 키우는 것 같기도 한데 실제로 비누나 향초, 패치 등 다양하게 파생되는 제품이라 실제로 생산된다면 행복’, ‘평온같은 걸로 장만하고 싶다. ‘우울을 구매한다는 소설 속 소비자들을 끝끝내 이해하기 힘들지만 나만은 아프지 말고 행복하자. 책을 오만둥이로 결제하면 딸려오면 굿즈 형태면 그것도 괜찮겠다. 누가 좀 현실화 시켜주면 안되겠소?

 

가장 인상적인 단편들만 골라 감상을 끄적거려 봤다. 과학기술과 감성이 혼합되어 탄생된 이 단편소설들은 소재를 도구로 활용하는 방식이 충분히 흥미롭기는 하나 결국은 화자가 문제였다. 소수자들을 대변하겠다는 의도는 알겠으나 그 소수자들이 두루두루 등장하지 않고 특정 소수자만 처음부터 끝날 때까지 변함없이 밀고 있다는 인상을 지우기가 힘들다. 단편소설집은 종합 선물세트처럼 입맛대로 골라 먹는 재미가 있어야 하고 그러려면 다양한 화자들이 이야기 해주어야 하는데 여기서는 단 한 명이 주인공이 끌고 가는 장편 같다. 물론 서사방식은 개취니까 이런 스타일을 선호하는 계층이 있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