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는 안는 것
오야마 준코 지음, 정경진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8년 6월
평점 :
절판


개인적으로는 고양이를 단 한 번도 키워본 적 없다. 반려동물이라고 하면 언제나 개를 먼저 떠올리게 되고 소설과 영화로도 개를 가장 쉽게 접하곤 했다. 실제로도 개를 키운 적도 있고.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고양이가 등장하는 소설과 영화가 부쩍 늘어난 것 같고 직접 감상하게 된 경우가 꽤 된다. 아마도 굳이 개가 아니더라도 인간과 고양이 사이를 잇는 외로움이란 단어가 필시 존재하기 때문이지 않을까?

 

 

여기 도쿄 변두리 아오메 강에는 네코스테 라는 이름의 다리가 있다. 이 다리 인근에 조성된 물류촌의 창고에는 쥐 퇴치용 고양이들이 많이 길러졌었는데 언제부터인가 고양이를 버린다.’는 의미의 네코스테가 은어처럼 사용되었다. 물론 실제로 버려도 된다는 의미가 아니라 그만큼 고양이가 필요 없을 정도로 번창해서 신식 창고가 생기는 현상을 도둑들에게 들키고 싶지 않아서라고 한다.

 

 

그런데 말이다. 이곳에서는 고양이들의 집회가 종종 열린다. 집고양이든 길고양이든 상관없이 평등하게 참여 가능한 집회로서 고양이의 관련된 주제라면 토의가 벌어지지만 특별한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 단지 이구동성으로 이야기할 뿐이다. 가장 먼저 등장한 요시오는 인간 여자인 사오리와 자신이 연인사이라고 착각하여 그녀의 곁으로 돌아가려다 이 강에 빠져떠내려가다 간신히 구조 된다.

 

 

나중에 자신의 몰골을 보고서 인간 남자가 아니라 고양이라는 사실을 깨달을 정도로 인간과 고양이 사이의 교감은 말이 통해서가 아니라 상처받은 인간의 마음과 함께 하고 사랑받고 싶은 고양이의 외로운 마음이 만나 서로를 필요로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른 고양이 이야기 또한 마찬가지이다.

 

 

인간으로부터 이름이 붙여진 고양이와 이름이 없는 길고양이 중에서 어느 쪽이 더 행복할까란 고민도 따지고 보면 쓰잘 데 없는 도돌이표 일지도 모른다. 보통의 인간을 신뢰하지 않던 고양이도 딱 한 사람만큼은 의지하거나, 인간으로부터 사료를 제공받지 않아도 자유로운 객체로서 주거의 자유가 있는 고양이라면 속박 받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행복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인간과 공생하는 집고양이들의 사연에 더 눈길이 간다. 연작단편처럼 각 단편마다 이어지는 인연들을 따라가면 아픈 만큼 성숙해지고 서로의 빈곳을 채우며, 상처는 서서히 아물어가기에 잔잔한 감동이 있다. 인간의 행복과 고양이의 행복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서 체온을 느낄 정도로 꼬옥 안아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누도 잇신 감독의 영화화는 또 어떤 감성으로 다가올까? 작가와의 대담은 그런 만큼 호기심을 자아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