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의 괴물
스미노 요루 지음, 양윤옥 옮김 / ㈜소미미디어 / 2018년 6월
평점 :
품절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로 공전의 히트를 거둔 스미노 요루 작가의 세 번째 소설 <밤의 괴물>이 나왔다. 이제는 청소년 라이트노벨의 선두주자로 나서는 것일까 할 정도로 이번에도 그 세대를 주인공으로 내세운다. 게다가 왕따를 소재로 했다면 조금은 식상하지 않을까 라는 일말의 염려는 아랑곳 하지 않은 채, 어느 날 원인불명으로 괴물이 된 소년 앗치가 등장하는 것이다.

 

어두운 방에서 나 혼자 있으면 눈에서부터 검은 알갱이가 눈물 한 방울처럼 떨어지더니 이윽고 양쪽 눈에서 쏟아지면서 전신을 덮고 흘러내려 뒤덮어 나간다. 검은 색 말고는 색깔의 타협이란 있을 수 없는 것처럼 물괴가 되어버렸는데 아직 가족들은 이 사실을 모르고 잠들어 있을 뿐이어서 밖으로 나가 동네 개도 위협하는 재미에 맛들렸나 보다.

 

이제 밤의 학교로 까지 가본다. 아무도 없어야 할 교실에 누군가가 있다. 누구지? 학교에 놔두고 온 물건을 찾으러 간 이유라도 있으면 납득하겠으나 대체 같은 반의 왕따 소녀 야노가 왜 있을까, 놀러왔다는구나. 이 야심한 시각에. 그 말이 왜 그리 슬프게 들리는지. 낮의 학교는 야노에게 암묵적인 합의에 의한 무차별 왕따 당하고 있어서 차라리 혼자 있는 밤이 편안할지도 모르겠다.

 

그러고 보면 야노는 참 이상한 아이다. 이유 없이 반 아이 중 누군가를 콕집어 괴롭힌다. 그것 때문에 반 아이들은 단죄라는 명목으로 집요하게 야노를 괴롭히고 왕따 시킨 것이다. 따지고 보면 스스로 화를 자초한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도 모르겠고 그렇게 당하고도 그냥 웃고 만다. 아야 하면 그만.

 

하필이면 그렇게 눈치도 없고 무신경한 야노에게 괴물의 모습과 정체를 들키고 말았을까, 야노는 그런 앗치를 경이의 시선으로 대하면서 정체를 까발리지 않으며 낮에도 밤에도 앗치와 한 공간에 있을 수 있었다. 사실 낮의 학교에서 왕따 당하는 아이도 있지만 무심코 편들었다가 같이 당하는 아이도 있는가 하면 이 모든 상황을 주도하며 조종하는 아이도 있어서 앗치는 진짜 괴물의 의미에 대해서 고민에 빠져버린다. 비밀을 공유하면서도.

 

어른들이 이들의 세계에 개입하여 조정하기를 교묘히 거부하는 아이들 때문에 침묵하게 된 어른들, 그래서 아이들을 마냥 순수한 심성으로 바라볼 수 없게 된 거 같다. 어른들 못지않게 어쩌면 오히려 더 악랄하고 교활하다고 판단될지도 모를 이들의 세계에는 잘못을 두려움으로, 질서를 깨뜨리면 제재를 가한다는 자신들만의 순화방식이 존재한다. 선악의 결정과 판단에 대한 공감을 보류하고서라도 그런 시절이 있었고 또 있을 거라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