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과 소설가 - 대충 쓴 척했지만 실은 정성껏 한 답
최민석 지음 / 비채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면서 누구나 고민을 안고 있다. 스스로 생각해봐도 고민이 너무 많아서 밤잠을 설치기도 하고 마음이 늘 무겁다. 주변에서도 미리 걱정하는 타입이라고 할 정도니까. 그럴 때마다 대놓고 항변은 못하면서 문제발생에 미리 대비해서 나중에 큰 화근이 될지도 모를 싹을 미리 잘라두는 게 뭐가 나쁘냐며 속으로 삭히는 편이다.

 

 

그렇다고 현실은 달라지지 않는다, 아니 스스로 자연스레 해결된 것도 같고. 내 능력으로 부딪혀서 해결된 것도 같고. 또 그냥 불씨가 꺼지지 않은 채, 불안에 떠는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소설가 최민석이 들려주는 고민상담은 무릎을 탁 치게 만드는 촌철살인의 해답이라기보다는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식의 해석일지, 시간만이 약이라는 식의 해석인지는 읽고서도 여전히 어안이 벙벙해진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최민석 작가도 처음과는 달리 마음을 고쳐먹었다. 나이 마흔에 접어들면서 2,30대 청년들의 고민을 들어주고 가능한한 열심히 답변해주기로 말이다. 처음엔 마냥 똥폼 잡지 않고 나름 유머를 곁들여 가며 편안하게 자신의 견해를 읽어주기로 하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진지해진 듯하다.

 

 

꾸준히 자신의 책 홍보에도 열심이다. 은근슬쩍이 아니라 이건 대놓고 책 좀 사주십시오. 읽어주십시오. 지루해서 수면제로는 딱이랬다가 재밌고 유익하다며 태세 변환하는 작가의 익살을 어찌 미워할까. 오히려 읽고 싶은 마음이 동하는. 그렇다면 작가의 의도는 성공한 셈이다. , 아무렴 어때. 넘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말고 어깨에서 힘을 빼라는 거다.

 

 

결국 세상과 인간에 대한 관심을 잃지 말고 살아가라고 말한다. 일찍부터 고민하는 청춘에겐자신만의 인장이 필요하다는 말이 쉽지는 않겠지만 참 멋지게 다가온다. 인생에 정답은 없고 이런 저런 길은 있더라는 식의 참고서 역할만을 작가에게서 얻어내었다면 그것으로도 족하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