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수대] 구인배율 [중앙일보]
관련링크
수량을 비교할 때 흔히 비율(比率)과 배율(倍率)을 쓴다. 비율이든 배율이든 비교 수량을 비교되는 수량으로 나눈 숫자라는 점에서는 매한가지다. 두 가지 모두 어떤 것이 다른 것에 비해 얼마나 큰지, 또는 얼마나 작은지를 한눈에 보여준다.

비율과 배율은 계산하는 방법은 같지만 실제 쓰임새에선 미묘한 차이가 있다. 우선 비율(rate)에는 기준량이 있다. 비율은 비교하려는 수량이 기준 수량에서 얼마만큼을 차지하고 있는지를 본다. 예컨대 실업률은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이고, 야구에서 타율은 유효 타격(타수) 가운데 안타를 때린 비율이다. 비교하는 수량이 기준량보다 큰 경우는 별로 없기 때문에 비율은 대개 1보다 작다. 특히 어떤 것의 구성비율은 항상 1 이하일 수밖에 없다. 다만 증가율의 경우 간혹 증가분이 기준량보다 커 예외적으로 1을 넘기는 사례가 있다.

이에 비해 배율(ratio)은 딱히 기준량이 없이 한 가지 수량이 다른 것의 몇 배나 되는지를 따진다. 현미경이나 망원경의 확대배율은 실제 크기보다 몇 배나 크게 보이는지를 나타낸다. 그래서 배율은 대개 1보다 크고, 곱절을 뜻하는 배(倍)를 단위로 쓴다. 복사기의 축소 배율처럼 1보다 작은 경우도 더러 있지만 대부분 비교하는 수량이 비교되는 수량보다 상당히 클 경우에 주로 쓰인다.

이런 점에서 일자리 형편을 보여주는 지표로 구인배율(opening-application ratio)이 쓰이는 것은 꽤 뜻깊다. 구인배율은 신규 구인 인원을 신규 구직자 수로 나눈 것이다. 이 숫자가 클수록 일자리 사정이 좋고, 작을수록 일자리 구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런데 이것을 배율로 나타냈다는 것은 일자리의 수가 구직자 수보다 많을 것이라는 전제를 깔고 있는 셈이다. 일자리가 넘치기를 바라는 기원과 고용 사정에 대한 낙관이 담겨 있다.

전후 최장의 확장국면을 구가한다는 일본에는 이 말이 딱 들어맞는다. 내년 대학 졸업 예정자에 대한 구인배율이 2.14로 16년 만에 2배를 넘어섰다고 한다. 일자리 수가 취업 희망자를 모두 뽑고도 남을 만큼 넘친다는 얘기다.

반면에 우리나라에서 지난해 대학 졸업자의 구인배율은 0.25였다. 일자리 한 개를 놓고 4명이 다툰 것이다. 차마 몇 배라고 하기조차 민망하다. 구인배율을 비율로 바꾼다고 사정이 나아질 리가 없으니, 배율이 본래의 의도로 쓰일 수 있기만을 기대할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분수대] 키덜트 [중앙일보]

관련링크
지난주 인터넷에서는 바비 인형이 갑작스레 화제였다. 한 해외 블로그에 소개된 '바비의 출산'이라는 자극적인 사진 때문이다.

바비의 나이는 48세. 1959년 마텔사가 뉴욕 완구박람회에 선보인 뒤 세계적으로 10억 개 이상 팔렸다. 당시 장난감 인형은 모두 갓난아기라 성숙한 몸매의 바비가 폭발적 인기를 누렸다. 베이비붐 시대 마텔사는 바비의 인기를 업고 세계 완구업체 1위에 올랐다. 서구적 외모지상주의를 부추긴다는 비판이 나오자 다양한 국적과 인종의 바비로 대응했다. 여러 직종의 바비도 선보였다. 사회와 패션의 변화를 신상품 개발 요소로 활용한 것이다.

식구도 늘었다. 친구들과 자매 등 바비 가족이 20여 명이다. 바비를 위한 옷.가구.집기 등 부속 장난감도 함께 만들어 팔았다. 그 외 라이선스를 얻은 의상, 출판.잡지, 문구, 가구, 가전제품까지 '바비 월드'는 무궁무진하다. 요즘 유행하는 '원 소스 멀티 유즈'의 원조 격이다.

최근 바비의 고민은 전통적 완구시장의 변화다. 예전 같으면 바비를 갖고 놀던 아이들이 더 이상 인형을 거들떠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이들의 취향이 모델이나 공주 같은 바비에서 멀어졌기 때문이다. 초등학생만 되면 희망 선물 리스트가 컴퓨터 게임, 비디오, 휴대전화와 MP3로 바뀐 점은 더 큰 요인이다. 자연 고객층이 미취학 유아로 좁혀졌다. 더구나 세계적인 출산율 저하라는 요소도 있다. 전통적 완구업계가 위기감에 휩싸인 배경이다. 실제로 세계적인 장난감 유통업체 토이즈 알 어스는 지난해 미국에서만 70여 개의 매장을 없앴다. 아예 선물업체로 탈바꿈한 회사도 있다.

이들이 새롭게 주목하는 시장은 오히려 성인시장이다. 일본 최대의 완구회사인 반다이는 장난감이 더 이상 아이들의 것이 아니라는 데 일찌감치 눈떴다. 반다이의 대표 상품인 '건담 프라모델(조립 로봇)'은 이미 어린이.청소년 외에 성인 남성을 주 고객층으로 확보하고 있다. 노인층과 성인 여성을 겨냥한 인형도 개발하고 있다. 새롭게 내놓은 '사쿠라나'는 세련된 외모의 커리어 우먼 인형이다. "성인 여성들의 동일시 욕구를 자극하며, 자신을 꾸미듯 인형을 꾸미게 할 것"이라고 반다이의 홍보 담당자는 말했다.

새롭게 뜨는 '키덜트'(아이 같은 어른) 시장이다. 바비 인형만 해도 관련 상품을 경쟁적으로 수집하는 매니어 컬렉터들이 큰손 고객이다. 아이들이 내던진 인형을 어른들이 들고, 심리적 유년기를 늘려 가고 있다.


양성희 문화스포츠부문 차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분수대] 포크 배럴 [중앙일보]

관련링크
남북전쟁 전 미국의 남부 농장. 돼지를 잡으면 주인은 좋은 부위만 챙겼다. 나머지는 통에 집어넣고 절여 노예들에게 한 조각씩 던져줬다. 노예들은 돼지고기 통 주위로 몰려들었다. 노예제는 폐지됐지만 아직도 이런 광경이 남아 있다. 연방예산을 끌어들여 지역구에 선심을 쓰고, 표를 얻으려는 의원들이다. 이것을 '포크 배럴 정치(pork barrel politics.정치적 선심 공세)'라고 한다. 돼지고기 조각과 표를 바꾸는 것이다.

미국 대통령들의 거부권 행사가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역대 2551건. 4선을 한 프랭클린 루스벨트는 무려 635번, 클리블랜드도 584번이나 거부권을 행사했다. 이 중 상당수가 예산법안이다. 빌 클린턴 대통령이 거부한 37건도 대부분 '포크 배럴 예산'이었다.

로마 호민관은 원로원이 만든 법을 비토(거부)할 수 있었다. 미국의 대통령도 그런 권한을 받았다. 미 의회가 법안을 넘기면 10일 이내에 이유를 달아 발의 의원에게 돌려보낼 수 있다(환부 거부). 의회가 다시 의결하려면 상.하원 3분의 2가 찬성해야 한다. 의회가 휴회 중이어서 10일 이내에 돌려보낼 수 없다면 그냥 폐기할 수 있다(보류 거부). 재의를 못 한다고 '절대적 거부', 대통령이 주머니에 넣어버린다고 해서 '포켓 거부'라고도 한다.

한국에서는 15일 이내에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 보류 거부나 '부분 거부(line-item veto)'는 허용되지 않는다. 재의결 요건은 재석 3분의 2의 찬성. 제헌국회 이후 거부권이 행사된 것은 67번. 이승만 대통령이 거부한 양곡매입법안 등 45건은 대부분 재의결됐다. 1961년 4월 이후 국회에서 원안이 재의결된 것은 노무현 대통령의 측근비리 특검법이 처음이었다. 박정희 시대에는 거부권을 행사한 것이 겨우 4건. 국회를 확실히 장악했기 때문이다. 여소야대가 된 노태우 정부 때 7건이 거부돼 모두 수정의결됐다.

최근 노 대통령이 거부권 행사를 검토한다고 한다. 국민연금법 개정안과 한 묶음인데 따로 통과돼버린 기초노령연금법 때문이다. 65세 이상 노인 60%에게 세금으로 매달 8만9000원씩 주겠다고 한다. 한나라당은 한술 더 떠 80%에게 18만원씩 주도록 다시 고치겠단다. 돼지 비계 나눠 주기 세금 잔치에 누구 등골이 빠지는지는 모르쇠다. 다행히 6정파가 이달 중 국민연금법을 고치겠다니 지켜볼 일이다. 바로잡지 못한다면 이것이야말로 거부권 대상이다.


김진국 논설위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분수대] 매리 [중앙일보]

관련링크
미투리쯤 될까. 아니면 가죽신 정도 되나. 어쨌든 춘추 시대 정(鄭)나라에 살던 한 인물이 장이 서는 어느 날 신발을 사기 위해 문을 나섰다. 그는 출행하기에 앞서 자신의 발을 쟀다. 끈으로 발을 잰 뒤 시장에서 자신의 발에 꼭 들어맞는 신발을 사기 위함이었다.

사람들이 분주하게 오가는 시장에서 그는 신발 파는 장사치를 찾았다. 아뿔싸. 신발을 사기 위해 두리번거리던 그는 노끈을 집에 두고 온 사실이 생각났다. 가만히 되새겨 보니 의자에 걸쳐 둔 채 문을 나서고 말았던 것이다.

이 정나라 사람은 부랴부랴 집으로 돌아갔다. 급히 문을 들어선 뒤 의자에 걸쳐 놓았던 끈을 찾아서 그는 시장으로 다시 향했다. 바삐 가노라고 갔지만 시장에는 이미 사람들이 많이 없어졌다. 신발을 팔던 상인도 철시를 했다. 난감한 표정을 짓고 있던 그에게 시장에서 집으로 돌아가던 사람들이 모여 들었다. 영문을 알아본 다음에 사람들은 물었다. "끈으로 재는 것보다 당신 발로 신발을 신어 보면 되는 것 아니었느냐"고.

'정나라 사람 신발을 사려 하다[鄭人買履]'라는 우화다. '한비자(韓非子)'에 소개된 뒤 가끔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내용이다. 신발을 사는 데 가장 필요한 것은 자신의 발일 게다. 발 크기도 그렇고 그 폭도 그렇다. 신발을 파는 노점에서 직접 신발을 신어 보면 모든 답이 나온다. 그러나 그는 뭔가에 크게 매달린 눈치다. 끈으로 자신의 발을 쟀던 행위에 생각이 빠졌던 것일 텐데, 그는 그만 근본을 잊어 버리고 말단에 빠져 버린 꼴이다.

자신의 지향(志向)이나 이상, 또는 원칙 같은 것에 빠져 발과 신발이라는 현실의 그림을 제대로 잡지 못했다. 시장에서 신발을 살 수 없게 된 처지. 결국에는 망상 등으로 자신을 그르쳐 현실의 여러 기회들을 놓치는 경우다. 낡은 관습과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행태를 일컫는 '묵수성규(墨守成規)'와 근본을 잃어버린다는 뜻의 '망본(忘本)'이 모두 같은 뜻일 것이다.

이른바 '삼불(三不)정책'을 두고 나라가 또 한바탕 소란에 빠지고 있다. 대통령도 나서고, 교육부총리까지 나서서 대대적인 홍보전을 펼친다. 교육이 벌어지는 현실의 장에서는 불만이 이만저만 아니다. 정부의 정책은 뭔가 지향점이 있는 듯하다. 원칙이라고 내세우는 것이 혹여 평준화에 죽고 살자는 교조(敎條)적 망상이 아닌지 되새겨볼 일이다. 신발을 사는 데는, 발을 쟀던 노끈보다 그저 맨발이 훨씬 나은 법이다.


유광종 국제부문 차장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체리마루 2007-04-14 13: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인매리
 

 

[분수대] 고리대금 [중앙일보]

관련링크
무슬림 성전인 코란과 근래 중동 두바이에 부는 초고층 빌딩 건립 열풍. 연결 고리가 퍼뜩 떠오르지 않는 둘 사이엔 인과관계가 있다. 이자를 죄악시하는 이슬람 교리가 100층 이상 마천루 같은 부동산 투자 쪽으로 돈줄을 확 틀었다는 것이다. 뉴욕 월가가 주목하는 '이슬람 금융'의 새 화두가 '자금 세탁'이 아닌 '코란 세탁'인 걸 보면 고개가 끄덕여진다. 오일달러는 넘치는데 이자놀이가 여의치 않으니 부동산이나 주식.채권 따위 투자와 얽어 이자상품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한 교묘한 파생금융상품을 만들어 낼 수밖에.

이자 소득을 곱지 않게 본 건 코란뿐만이 아니다. '돈 꿔 주고 대가를 바라지 말라'는 경구는 마태복음 말고도 신약성서 도처에 등장한다. 이자는 근로나 사업처럼 땀이 배지 않은 불로소득이라는 지탄을 면치 못했다. 중세 교회법은 아예 이자 받는 것을 금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화폐는 교환을 위해 만든 것, … 이자는 축재 방법 가운데 가장 자연에 반(反)한다'('정치학')고 설파했다. '화폐 불임설(不妊說)'이다. 한낱 종이.금속 조각인 화폐가 뭐기에 이자라는 가치를 만들어내느냐는 통념은 오늘날에도 남아 있다. 돈도 일반 상품처럼 수요.공급이 만나는 곳에서 가격이 정해진다는 것, 바로 이 '돈값'이 금리라는 인식이 보편화된 것은 중상주의와 산업화를 거쳐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꽃핀 근세 이후다.

그러면 고대.중세의 금전 거래엔 이자가 없었느냐, 그건 천만의 말씀이다. 오히려 암시장의 고리대금이 널리 성행했음을 역사는 보여준다. 기원전 5세기 로마의 '12표법(表法)'은 연 12%의 금리 상한 규제였다. 동서고금의 가장 저명한 빚쟁이로 기록될 '베니스의 상인' 샤일록은 16세기 유럽의 도시국가에서 사채놀이가 얼마나 횡행했는지 가늠케 한다. 구한말 고종이 내린 '전당포 세칙'에는 푼돈을 꿔줄 때 월 5%(연리 60%) 이상 받지 못하게 했다.

연 66%의 우리나라 법정 금리 상한선을 40% 정도로 낮추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하는 서민의 고통을 덜어주자는 데 반대할 사람은 없다. 하지만 지하 사채시장의 실세 금리가 100%를 훨씬 웃돈다는데 억지로 '돈값'을 끌어내리려다 시장의 반격을 불러오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정책을 다루는 분들은 고리대금과의 힘겨운 투쟁의 역사를 한번쯤 들춰보고 심호흡을 가다듬어야 할 것 같다.


홍승일 경제부문 부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