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탐정의 규칙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혁재 옮김 / 재인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탐정의 규칙은 일본에서 1996년도에 발표된 작품이다. 그가 최근 쓰는 작품을 보면 누가 죽였는지보다, 왜 죽였는가에 대해 쓰는 소설이 많다. 하지만 그의 초창기 소설을 보면 전형적인 본격추리물을 쓰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작품이 그의 본격추리물에서 왜 죽였는가로 넘어가는 단계의 소설이 아닌가 생각한다. 

작품해설을 보면, 이 작품을 통해 그가 추리소설작가로서의 입지를 만들었다고 한다. 이 작품을 통해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고 한다. 이 소설의 내용은 매우 독특하다. 평범한 추리소설과는 다르다. 프롤로그와 에필로그, 결말을 제외한 총 12가지의 사건이 여기서 등장한다. 읽기 시작하면 이 소설이 왜 독특한지 알게 될 것이다. 이 소설은 추리소설이라기보다는 추리소설을 비판한 소설이다. 등장하는 주인공들도 소설 속 내용을 진행하다 말고는 작가의 설정에 대해 불평하기도 하고 자신의 처지에 대해 불평하기도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 공감이 많이 됐다. 추리소설의 말도 안 되는 설정들을 주인공들이 비판하고, 실제의 사건의 진실은 전혀 다르지만 명탐정이 그렇다니까 그렇게 끝나는 결말들. 읽으면서 정말 풉하고 웃음이 나온다.  

작가는 추리소설 작가들을 비판한다. 똑같은 패턴의 사건들과 다른 추리소설에서 나왔던 참신한 아이디어를 다시 쓰는 것 등을 비판한다. 책에서도 추리소설을 어느 정도 읽은 독자들은 웬만한 반전 가지고는 놀라지도 않는다고 주인공들끼리 대화를 나눈다. 이 부분에서도 큰 공감이 됐다. 이런 점이 히가시노 게이고가 누가 죽였는지에서 왜 죽였는지로 넘어간 계기가 된지도 모른다. 결국 범인은 한정된 인원에서 나올 수밖에 없다. 어느 누가 범인이여도 결국 소설의 등장인물 중 하나가 범인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하지만 동기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이 책에서는 작가만을 비판하지 않는다. 추리소설의 독자들 또한 비판한다. 주인공들이 나누는 대화에서 작가가 아무리 친절하게 건물 설계도를 책에 넣어도, 꼼꼼하게 알리바이 표를 만들어 놓아도, 그걸 읽으면서 범인을 찾을 독자는 없다는 것이다. 이 부분 역시 공감이 되었다. 사실 나도 빨리 범인이 누군지 알고 싶은 생각뿐이지 내가 직접 누가 범인인지 맞추겠다는 생각은 거의 없었다. 

이 소설이 재밌었던 것은 단지 이런 비꼬는 내용들 때문만은 아니다. 12개의 사건들마다 엄청난 반전이 있다. 그것도 평범한 추리소설에서는 볼 수 없는 반전들이다. 아니, 평범한 추리소설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반전들이다. 이 소설의 목적이 추리소설의 스릴보다는 비판 쪽에 더 가깝기 때문에, 전혀 논리적인 설명이 책에 실려 있지 않다. 대략적인 설명만 책에 있을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황당한 반전이 나와도 괜찮다. 이 소설만이 가질 수 있는 반전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추리소설을 처음 접하거나, 많이 접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추천하지 않는다. 그런 사람들에게는 이 소설이 어디가 웃긴 건지 이해를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소설이 아니더라도, 명탐정 코난이나 김전일 같은 추리 만화를 많이 읽은 분들에게는 추천한다. 오히려 그런 사람들이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또 이 책을 읽기 전에 애거서 크리스티의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를 읽는 것을 추천한다. 12편의 단편들 중에서 2편이 이 소설을 바탕으로 쓰였다. 심지어 한편에서는 이 소설을 ‘표절’했고, 주인공들도 작가가 이제는 ‘표절’까지 한다고 한탄하기도 한다. 이런 내용도 이 책이니까 쓸 수 있는 내용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