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변의 카프카 (상)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춘미 옮김 / 문학사상사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카프카를 읽은지 6개월째 되었다.. 6개월이 지난 지금에야 난 카프카에 대해 무언가 쓸수있을것 같은 느낌이 든다. 그전에도 무언가 카프카를 읽고 느낀바를 글로서 표현해보려고 시도를 해보았지만 도통 두줄을 넘길 자신이 없었다. 6개월이란 시간과 2번이라는 통독횟수를 깨닫고 나서야 무언가 쓸수있을거란 자신감이 들었다.

이야기는 15세의 카프카와 정신장애자 노인 나카타로 축을 그은 2가지 큰 줄기를 가지고 시작된다. 카프카는 좀 어두운 성격, 반항아적그런 느낌을 다분히 주는 소년이다. 그도그럴것이 이야기 시작부터 가출하는 내용을 다루고있기 때문이다. 까마귀소년이라는 녀석이 하는 말은 카프카의 내면세계를 투영하는 글들인듯한데, 그것은 내게 참 흥미로운 요소였다. 카프카는 그런 까마귀소년이 마치 자기곁에 있는 친구인냥 대하는것과 어차피 카프카의 내면세계가 만든 가상적 존재인 까마귀소년이 마치 살아있는 존재있듯한 느낌을 가지게 만드는것은 하루키의 멋진 능력이 아니고 무언가?

가출로 시작되는 카프카이야기와는 다른, 정신장애자 나카타 노인은 카프카편보다 더하면 더했지 더 못하지는 않게 흥미진진했다. 고양이언어를 알아들을수있고 사람과의 대화엔 무언가 어리한듯한 모습을 보이는 나카타노인이 시간이 가면갈수록 사람과의 대화가 자연스러워 지고 그 나름대로의 내면갈등을 그려내는 모습은 무슨 이야깃거리를 덧붙일것도 필요없는 흥미로운 광경이다. 이노인은 어떤돌을 찾으로 여행을 떠나고, 신비로운 일들을 예지하는등 돌출적이면서도 신기한일들을 해나간다..

그러한 둘의 이야기에 무엇을 느꼇으며, 작가는 무얼 말하고있는가? 그런걸 나에게 물어본다면 난 대답하기가 쉽지않다. 변명은 아니지만 아마도 하루키의 소설을 한편이라도 읽어본사람이라면 그렇게 묻지 않을것이다. 그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임을 알고있을것이기 때문이다... 무언가 굳이 느끼고 싶지도 않고, 그럴려고 노력하기도 싫다. 그냥 하루키소설만의 몽환(?)적 느낌과 세계속에 빠져서 그냥 읽어내려가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그렇게 난 하루키만의 매혹에 빠진채 해변의 카프카를 읽었던것이다. 그의 작품이 주는 하나의 특별한 무언가에 매혹되고 싶다면 이책을 권하고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젤란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 자작나무 / 1996년 11월
평점 :
품절


대체로 대항해시대라고 하면 유럽의 15-16세기의 여러국가들의 항해역사를 생각할수 있다. 그리고 단연 떠오르는 인물로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있을것이다. 위 인물은 인도에 가는항로로는 그시대에 만연해 있던 아프리카를 돌아 동쪽으로 가던 동쪽항로보다는 그 반대편인 서쪽항로를 통해 가는 톡특한 생각을 하였던 인물이다. 그결과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신대륙을 발견하게된다. 하지만 그는 죽을때까지 그 신대륙을 인도의 동쪽편이라고 생각하였다.

마젤란은 그보다 좀더 후인 신대륙의 실체가 드러나고, 서쪽항로로는 인도로 갈수없다는 인식이 세계(유럽)에 널리 퍼져있을때, 다시금 콜럼버스와 같이 서쪽항로로 통해 인도에 갈수있다고 생각한 인물이다. 신대륙의 남반구쯤에 반드시 대양과 통하는 해협이 있다고 믿었던것이다.

콜럼버스는 이베리아반도에서 신대륙까지 일직선으로 순풍을 타고 항해하여 손쉽게 신대륙을 발견했지만(자신의 의지는 아니지만), 마젤란은 대륙최남단 부근인 마젤란해협(그당시엔 마젤란해협이 아니였지만)까지 내려갔던것이다. 대륙남단까지가는길은 보급항도 없을뿐더러 해류와 바람방향도 시시각각변하기 때문에 상상도 못할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마젤란 해협을 발견후, 새로운대양(태평양)의 공허한 항해에서 그는 또다시 큰 어려움에 봉착하였다. 당시 태평양의 길이가 정확히 측정되지 않았음으로 그역시 태평양을 대서양이나 인도양정도 크기로 생각했던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수많은 어려움을 딛고 지금의 필리핀에 다다른다. 그는 이 항해를 하기전에 동쪽항로를 통하여 필리핀까지 와본적이 있으므로, 곧 세계를 한바퀴돈 세계최초의 인물이 된다. 안타깝게도 필리핀에서 죽음을 맞이하지만, 그는 콜럼버스와 비교해볼때, 자신의 생각하던바를 확실히 이루어냈으며,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몸으로 증명해 냈고 그러므로 서쪽항로를 발견해 내는 성과를 거둔것이다(비록 항로가 너무 위험하여 실용화되진 않았지만)

콜럼버스가 서쪽신대륙을 우연찮게 라도 발견하며, 서쪽항로에 대한 세상사람들의 인식을 심어준 업적도 무시할순 없는 것이나 마젤란이 힘겨운 항해끝에 이루어낸 지구일주와 서쪽항로 발견은 그에 비등. 혹은 이상가는 업적으로서 현실에 마젤란이 콜럼버스보다 소외되어있는것은 정말 안타까운 일이 아닐수없음을 알게되었다. 츠바이크는 이런 역사적으로 위대한 인물이 도태되어있는 안타까운 현실에 대한 바른인식을 나에게 일깨워준 정말 멋진 작가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