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피버스데이 - 부모와 아이의 인연을 60억 분의 1의 기적
아오키 가즈오.요시토미 다미 지음, 오유리 옮김 / 밀리언하우스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아스카가 웃었다. 아이의 마음이 점차 열리고 따뜻해지는 과정이 커다란 뭉게구름처럼 멀리 퍼져나갔다. 그래서 자신의 의견을 내세우지 못해 왕따를 당하던 준코에게로, 몸이 불편하지만 웃을 줄도 알게된 메구미에게도, 그녀의 주변 친구들에게도 퍼져나갔다. 그녀의 오빠를 비롯해서 ’아스카는 태어나지 말았어야 했어’라고 말했던 어머니 그리고 늘 일때문에 자녀를 챙기지 못한 아버지에게까지 아스카 주의보가 내려졌다. 아스카의 따뜻한 마음이 모두를 깨우치게 한 것이다. 그런 마음을 내보이기까지 아스카가 얼마나 힘들었는지는 말할 필요도 없다. 아스카카 자신의 마음을 다독이는 과정에서 감동이 더욱 진하게 전해져 온 것 같다. 아스카는 큰 아픔을 잘 이겨낸 정말 대견한 아이였다. 


사람은 변화하기 위해 배우고 공부한다고. 
아스카가 말했다. 아니, 그보다 먼저 아스카를 아끼는 할아버지가 먼저 이 말을 아스카에게 들려주었다. 이 말을 계기로 아스카는 자신의 마음을 열 수 있었고, 그의 오빠도 자신의 꿈을 좀 더 주체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다른, 마음이 두근거리는 말들도 많았지만 나 역시 가장 깊게 생각해 볼 수 있는 말이기도 했다. 좋은 성적을 받고 좋은 대학에 들어가 좋은 직장을 가지기 위해서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변하기 위해 배우고 있다는 생각을 하니 마음이 금세 ’꿈’을 찾게 되었다. 더불어 앞으로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한번 더 생각하게 되었다.


지난 일이년간 대학생활을 하면서 배운점이 많았다. 제한된 활동을 해야만했던 고등학생 때에 비해 대학생이 되니 자유가 주어졌고, 그만큼 내가 스스로 꾸려나가야 할 일들이 많아졌다. 그래서 스스로 ’선택’하는 법부터 차츰 배우게 된 것 같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목표를 세우고 도달하는 과정이 즐거웠다. 일년이 남다르게 내가 변하고 있다는 것도 느껴졌다. 계속하여 사람들과 이리저리 부딪치면서 사람을 대하는 법도 배우고 남 앞에 나서서 말하는 법도 알게 되었다. 작은 생각에 갇혀 혼자만의 생각만 부풀리던 고등학생 때와는 달리 생각의 크기가 많이 달라졌다. 시행착오를 겪을 때도 많았지만 나는 지금, 내가 가장 바꾸고 싶었던 것이 2여년이 지난 지금에서야 결과가 드러난다는 점에 놀라고 있는 중이다. 모든 노력에는 결과가 뒤따른다는 믿음이 생겼고, 그에 따른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다. 그래서 나는 앞으로도 변화하기 위해 배우고 공부할 것 같다. 어차피 해야하는 공부라면. 


아스카의 마음이 이렇게 내게도 전해졌다. 그녀는 홀로 상처받은 가녀린 초등학생이 아닌 아픔을 스스로 극복할 수 있었던, 이젠 성숙한 마음을 전할 수 있는 한 사람으로 우뚝 서 있었다. 자신이 결코 하찮은 존재가 아님을 알고, 자신의 가치를 알고 나아가 그런 자신을 존중해 줄 수 있는 사람에게 사랑을 베풀줄 아는 아이가 되었다. 그녀의 자신감과 너른 이해심이 보기 좋았다. 앞으로도 그녀는 이렇게 말한다. 사람들을 기쁘게 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고. 한 발자국 나아가는 ’Birthday’를 맞는 그녀는 누구보다 멋진 아스카, 자신이 될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음이 자랄 수 있는 이야기를 읽게 되어 선한 웃음이 자연스레 베여 나왔기에 도리어 많은 생각을 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렌지 리퍼블릭 - Orange Republic
노희준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남 오렌지’들의 적나라한 이야기를 읽었다. 묵직한 고뇌가 한껏 담겨있는만큼 강남의 대서사시를 이즉하게 옮겨놓은 이 이야기는 많이 낯설기도, 새롭기도 했다. 그래서 정말 ’소설’을 보는 기분이었다. 현실을 너무 적나라하게 담고 있었기에 도리어 소설처럼 느껴지는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과 같은 류의 소설이었다. 주인공이 홀로 자신의 이야기를 구름 피어오르듯 연이어 물고물고 나갈땐 최시한의 ’모두 아름다운 아이들’이 떠오르기도 했다. 홀로된 고민이 모두의 고민으로, 고민이 많이 담긴 소설이었다. 가장 자유분방하면서도 생각이 많아지는 우리 시대의 청소년이 주인공이 되어 그런 고민을 마구 풀어내고 있었다. 


이 소설에는 모두 저마다의 상처를 지닌 아이들이 등장한다. 하지만, 그들은 친구라는 명목아래 자신의 치욕스런 치부를 드러내면서 자신들의 마음이 열리는 과정을 보여준다. 하지만 모두 진실된지는 모른다. 다만 그렇게 그들은 자신의 치부를 차츰 드러내면서 허물없는 친구라면 꼭 드러내지 않아도 될 ’비밀’까지도 함께 공유하길 바란다. 그들은 아직 스스로를 통제할 수 있을 만한 어른이 아니었다. 아직 어른이 덜 된 막 익기전의 탐스러운 오렌지였을 뿐이었다. 


그런 그들의 언어가 소상하게 드러나면서 이 소설의 매력이 보인다. 이 시대의 청소년들의 적나라한 대화를 속시원하게 엿볼 수 있게 됨으로써 90년대의 시대적 풍토와 당시 강남 오렌지들의 이야기를 알아 들을 수 있게 된다. 그들의 관계가 좀 더 진지해지는 모습을 볼 수 있고 남들과 다름없이 미래에 대해 걱정하는 그들을 볼 땐 결국 푸핫 웃음이 나온다. 별반 다른바 없던 푹 찌그러진 강남 오렌지들의 이야기였다. 아마, 작가는 이런 강남 오렌지들의 이야기를 가장 적절한 언어로 잘 풀어낸 것이 아닌가 싶다. 좀 더 넓은 시각을 갖기 위해 같은 소재를 다룬 황석영의 ’강남몽’ 또한 읽어보고 싶었다. 단편적으로 그들의 이야기를 들었을 때는 그들의 자세한 내력이 흥미롭게 다가왔다. 저들만이 똘똘 뭉친 ’나’의 패거리들이 어떻게 지속될까 궁금했다. 장면 장면이 정말로 길게 지나가는 소설이었지만, 만약 단편이었다면 많이 아쉬웠을 법한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황식 Go!
정허덕재 지음 / 문화구창작동 / 2010년 10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강점을 꼽자면 가벼움과 영화 시나리오를 보는 듯한 신속한 상황전개다. 즉, 심심풀이로 가벼운 잡지를 뒤적이고 싶을 때 이 책을 집어든다면 안성맞춤이라는거다. 주인공 고놈 졸라 황당한 자식, 이 아닌 고황식은 벌써 수년간 백수로 버스비 몇백원을 아끼기 위해 교복을 입고 돌아다니는 지극히 뻔뻔한 백수다. 긴 시간이 만들어준 뻔뻔함은 그만의 자신감이 되었고 어느새 세상을 사는 법이 되었다. 작가 정허덕재가 만들어내고 싶었던 딱 그대로의 인물이 완성된 것이다. 그의 신명나는 뻔뻔함에 벌써부터 웃음이 난다. 


솔직히 말하면 이 소설에 주고 싶은 별이 자꾸만 달아난다. 가볍고 신나게 버스 안에서도 집중할 수 있을만큼 편한 소설이었지만, 너무 편했다. 소설다운 구석이 너무 보이지 않아 자꾸만 더 묵직하고 깊은 구석을 눈빠지게 찾았던 소설이 바로, 고!황식GO!다. 거짓말을 조금 섞어 처음부터 끝까지 농담덩어리인 것이다. 주인공이 진지한 모습도 찾기 힘들었다, 뭐 그게 고황식의 매력이기도 했지만. 저자는 곧곧에 톡톡 깜짝선물처럼 정말로 공감이 될만한 문장을 숨겨놓았지만, 그 문장은 다른 평범한 문장 사이에서 너무 튀어 어울리지 않았다. 아쉬운 문장 인재들이 메마른 대지에서 팔딱팔딱 뛰고만 있었다. 


소설이 쉽게 눈에 그려졌다. 그래서 소설이 아니라 한 편의 요약 시나리오를 보는 것 같았다. 내용전개는  신속했고, 상상하기에 편하도록 주절구절을 자세히 쏟아놓았다. 조금 주워담을 필요도 있을 것 같았다. 약간의 유머러스, 는 재능이지만 처음부터발끝까지 유머러스는 만연 착한 남자처럼 매력이 없다. 고황식은 너무 친절하고 어떻게 보면 순박해서 스스로를 아쉬운 사람으로 만들고 있었다. 반짝이는 매력지수를 뚝뚝, 아까운 줄 모르고 흘리고 다니는 주인공이 만들어내는 소설이었다. 


소설 뒷쪽으로 갈수록 비어있던 큼직한 빈자리들이 하나둘 간신히 채워지는 것 같았다. 황식의 식물인간 어머니 이야기도 나오고, 시원시원한 솔직함이 매력인 난희의 애교만점 행동도 종종 보였다. 하지만 그런 이야기들이 속시원하게 끝나지 못했다. 황식의 이야기가 훈훈하게 마무리되긴 했지만 정말 그렇게 끝날 것 같은 결말이 막상 정말로 보이자 꽤 허무한 느낌이 들었다. 결말에 반전이 있었으면 더 재밌었을 것 같다는 아쉬움이 들었다. 조금만, 조금만 있으면 훨씬 더 좋은 소설이 툭 튀어나올 것 같았기에 아쉬운 점이 많은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테말라의 염소들
김애현 지음 / 은행나무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소설 속 주인공이 한 군데에 갇혀있을때, 작가는 곤란을 겪을 때가 많다고 한다. 한 곳에서 혼자 고민하고 두근거리는 상황을 모두 홀로 만들어내야 한다면 주인공에게 그런 시련이 없겠지만, 다행히 ’나’에게는 10년지기 절친 셋과 그 곳에서 사귄 초코라는 친구 그리고 입원한 어머니와 불륜관계였다는 전 선생이 ’나’를 겪려하고 이야기를 주고받기 위해 찾아와 주었다. 어머니가 갑작스런 사고를 당해 상심한 채 병원 중환자실 앞에 묶여 있어야 했던 나는 지칠정도로 어머니의 차도가 없음을 전해야 했고, 어머니에 대해 생각했던 그간의 생각을 다시 끄집어 내야했다. 


과테말라의 염소들, 이 책에서 말하고 싶었던 것은 어머니만이 자아낼 수 있는 사랑이었고 이를 희고 노랗고 까만 우유에 녹여냈다. ’나’에게 하나 해준 것 없는 것으로는 젖을 못 물린 것 뿐이라던 어머니는 딸에게 젖 먹던 힘까지 내라고 말을 건네었고, ’나’는젖을 먹어본 적도 없는데 젖 먹던 힘을 어떻게 내냐고 툴툴대다가도 ’젖 먹던 힘이 ..... 났으면 좋겠다’라고 생각하면서 조금씩 어머니가 주었던 사랑을 떠올리기 생각한다. 조각난 사랑을 다시 맞추어 온전히 받아들이려는 과테말라의 이야기가 ’나’의 이야기로 비슷하게 녹아든다.


나는 안타깝게도 어머니가 의식을 차리지 못하는 상태가 되자 하나둘, 어머니에 대한 다른 이야기를 듣게 된다. 그래서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잃고 바쁜 어머니와 살아온 사이 쌓아 놓았던 앙금을 점차 풀게된다. 다시금 자신에게 닥쳤던 상황을 이해하고 어머니의 사랑을 튕겨내지만 말고 온연히 받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친구들은 하나같이 자신들을 이해해주고 멋진 직장을 가진 어머니를 부러워하고 있었고 자신보다 더 어머니를 친근하게 생각하는 것 같았다. 그리고 어머니는 자신도 모르는 남자친구가 있었다.  그리고 그 사람들을 통해 어머니의 이야기를 듣고자 한다. 


이 책은 이중구조를 연이어 오다 하나로 합쳐지는, 지난 베르베르의 소설에서 많이 볼 수 있었던 구성을 취하고 있다. 처음 두 이야기를 읽었을 땐 먼 나라 과테말라에서 전하는 호세의 이야기와 현대의 한국에 살고있는 평범한 ’나’의 이야기가 왜 연이어 나오는지 알지 못했다. 이질적이면서도 금세, 하나하나의 소재가 불현듯 겹쳐졌다. 그러면서 두 이야기가 어떻게 이어질지 궁금해졌다. 점점 두 이야기에서 발견할 수 있는 공통점이 늘어날수록 소설은 재미있어졌다. 마음 한켠이 금세 따뜻한 바람으로 물들었다. 그리고 곧, ’나’의 상처와 호세의 상처는 치유된다. 구효서 소성가가 이 책의 저자인 김애현의 문체에 대해 ’발랄한 터치로 슬픔을 빚어내고, 덧바르면서 긁어내는 절묘한 현기증적 ’모순 필법’은 이 작가의 특징이다.’라고 말한 것에 크게 고개를 끄덕일 수 있었다. 앞으로 그녀의 글이 좋아질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인식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1
이상권 지음 / 자음과모음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섯 아이의 마음이 훌쩍 자라는 것을 느꼈다. 그러면서 가장 놀랐던 것은 저자가 막 청소년에서 어른이 되어가는 소년 · 소녀들의 내면심리를 너무나 잘 알고 있다는 것과 그것을 지면에 자연스럽게 이끌어냄으로써  독자에게 공감할 기회를 너무나 쉽게 만들어 준 점이다. 저자인 이상권의 소설은 그래서 아름다웠고 감동이 넘쳤다. 어린 내면을 가진 주인들이 솔직한 자신의 속마음을 내어놓고, 자신의 이야기를 담고 차츰 다른이의 마음까지 이해할 수 있을 때, 그들이 받았던 넓은 마음과 세상이 내게도 주어진 것 같았다. 나의 성인식은 마치 이 책을 읽고서야 이뤄진 것 같았다. 달리 성인식을 겪지 못한 내게 참으로 감사할만한 선물이 되었다. 


나는 작년에 성년의 날의 맞았다. 처음에는 성년의 날이 무엇인지도 몰랐고, 그 날을 거치는 의미도 전혀 알지 못했다. 작년, 재작년 성년의 날을 맞은 선배들에게 선물을 전하면서 진심을 담은 축하한다는 말만 전할 줄 알았다. 내가 그 축하를 받으리라곤 생각도 못했다. 그렇게 어영부영 성년의 날이 지나고 나는 내가 어른이 되어간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 다만 대학생이 되고 1년 반의 시간을 보내면서 배운 것은 참 많았지만, 아직도 내가 어른이 되려면 부족한 것이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직도 설이나 추석이 되어 할아버지, 할머니를 뵈러 갈때면 나는 꼭 세뱃돈을 받는 어린 아이라는 생각만 들었다. 이 책을 읽고나서야 나는 내 마음이 성숙할만한 성인식을 겪지 못했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눈을 뜨면 공부를 하고 감으면 잠을 자야하는 생활에 익숙한 탓이었다. 하고 싶은 것에 대해 꿈을 꾸는 시간은 있었지만, 정말 생각을 성숙시킬만한 철든 노력을 할 시간은 없었던 것 같다. 


그리고 대학생이 되었고, 일년이 지나 성년의 날을 맞았다. 그 즈음 생일도 지나 나는 정말로 21살의 나이를 꿀떡 삼킨 어른아이가 되어 있었다. 그리고 마음을 다독일 수 있는 하루가 연이어졌다. 이즈음 꿈에 대한 고민도 가장 성했고, 내 하루하루를 더 소중히 여겼던 것 같다. 꿈을 이루기 위해 살아가는 하루는 힘들거나 지쳐도 즐거웠기 때문에 은연중에 나만의 성인식을 치뤄버린 것 같았다. 그래도 남은 미연의 장난스런 마음은 이 책을 읽고 마음 속에 남아있던 일말의 상처도 치유하고 공감도 하며 다른 아이의 마음도 엿본채 성장해가고 있다는 걸 느꼈다. 이로써 나는 정말로 성인식을 치뤘었구나 혹은 치뤘구나 하고 당당하게 느낄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인지 책을 읽는 내내 마음 한 구석이 뜨거웠다. 내 마음에 꼭 와닿는 이야기였다. 시를 쓰는듯이 공을 들인 듯한 어휘로 수를 놓아 갖은 청소년들의 마음을 끄집어낼 수 있는 소설을 쓰신 이상권 작가님의 소설을 읽게 되어 잠시, 행복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