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카, 럭비처럼! - 절대긍정의 힘
김익철 지음 / 세림출판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제목이 무슨 뜻인지 고개가 좀 갸웃해졌습니다. 뉴질랜드의 마오리족은, 전통 춤 양식으로 "하카"를 아직도 간직하고 있다는데요, 그 원주민을 정복 대상으로 삼았던 뉴질랜드 이주 백인들이, 역설적이게도 이를 배워서 국가 대표팀의 경기 시작 전에 동작을 집단으로 퍼포먼스한다는군요. 특히 이 관행은 럭비 경기(미식 축구와는 세부 룰에서 차이가 나죠)에서 뚜렷한 관행으로 자리했는데, 여기에는 인종과 국가를 떠나서 모든 이들이 공감할 만한 정신이 자리한다는 게 저자의 설명입니다. 그 공감의 정신이란 바로 "절대 긍정"의 네 글자입니다.


저자 김익철은 기아자동차에 평생을 몸담은 분입니다. 요즘의 현기차 개념이 아니라, 과거 김선홍 회장 시절부터 독립 기업 기아자동차(주)에서 잔뼈가 굵은 분이며, 그 중에서도 HRD 파트에서 중임을 맡아 온 경력입니다. 아는 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기아차 노조라고 하면 얼마나 강성인 분들입니까. 기아에서 HRD을 맡은 분이라면, 인사관리에는 도가 튼 분이라고 해도 무조건 맞죠. 중국에 가 보신 분들은 다들 알고 있는 바이지만, 한국의 인사관리 그 세세한 매뉴얼과 관행의 빼어남은 특히 중국 고위층이 보고 혀를 내두른답니다. 세계에서가장 사람들 사이에 스트레스를 많이 주고 받는 나라가 한국이고, 그 복잡미묘하고 다양한 가지를 친 관계의 특성을 요리하다 보니, 어느덧 한국에서 통하는 건 세계 어디서도 통하게 되었죠, 대체로 룰에 순응하고 튀는 걸 경계하는 일본 따위가 따를 바가 아닌데, 이게 반드시 좋기만 한 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저자 김익철은 우연한 기회에 럭비를 배우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과연 실제로 럭비를 해 보기는커녕, TV 등으로 관전이나 제대로 해 본 분이 몇이나 될까요? 저자가 이 스포츠에 끌리게 된 건, 우리가 일상용어로 흔히 말하듯 "럭비공처럼 어디로 튈지 모르는" 그 맛, 그 매력에 빠진 것이 그 계기라고 합니다. 우리는 확실히 온갖 종류의 불확실성으로 가득한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저자가 개인적으로 럭비에 이끌리게 된 건, 그 불확실성으로 점철된 난국을 헤쳐 나가며, 하프라인을 넘어 높게 솟은 두 폴대 사이로 공을 던져 넣을 때의 그 쾌감이, 세상의 모진 역경과 돌출 변수를 하나하나 제거하고 마침내 궁극의 짜릿한 성공을 낚아챘을 때의 그 성취감과 맞먹는다는 겁니다.


자, 인생이 럭비와 유사하다는 건 이제 알았습니다. 럭비에서 그러면, 난국 타개, 리스크 미니마이징의 구체적 실천론으로 무엇을 배워야 할까요? 저자가 말하는 건 바로 절대긍정의 정신입니다. 사실 부정적 기운으로 가득한 언사나 불만을 털어 놓는 자를 보면, 대개 불만족스러운 자기 처지를 합리화하거나, 타인에게 그 실패를 전가하기 위한 의도가 크게 작용합니다. 그런데 다들 자기 이익, 자기 만족을 극대화하기 위해 촌음을 아껴 가며 뛰는 세상에, 누가 그런 철없는 푸념을 들어 주려 귀한 시간을 허비하겠습니까? 여기서 우리는, 부정적 시선과 왜곡된 투사가, 모든 실패와 어긋남의 근원임을 알 수 있습니다. 럭비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스피릿은, 첫째도 긍정이고 둘째도 긍정입니다. 


절대 긍정의 정신 자세를 우리에게 가르치기 위해, 저자가 선택한 방법은 무엇일까요? 긍정적인 마인드만 가지라는 추상적 설교가 아니라, 다소 독특한 방법으로 가르침의 각론이 전개됩니다. 김익철 교수 자신을 모델로 한 걸로 짐작되지만, 강태산이라는 기업체 이사와, 장민철이라는 시골 고교 럭비부 감독의 오랜 인연을 모티브로 해서, 일종의 대화체 소설이 책 내내 전개되고 있습니다. 강태산은 청운의 뜻을 품고 고시공부에 여념이 없었으나, 이에 가망이 없음을 깨닫고 취업 자리를 알아 보려 합니다. 이 때 알게 된 분이, 바로 장민철이라는 초로의 럭비 감독이었습니다. 이 두 명의 주인공이 엮어 가는 사건,주고 받는 대화를 통해 우리는 인생과, 경기 럭비가 얼마나 서로를 닮았으며, 그 과정에서 절대 긍정의 마인드가 수행하는 핵심적 기능의 중요성을 깨닫게도 됩니다. 진솔한 체험을 토대로 한 소설체 자계서이므로, 부담 없이 읽을 수 있습니다. 4년 전 나왔던 책의 개정확장판으로 보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