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르하치 - 청 제국의 건설자
천제셴 지음, 홍순도 옮김 / 돌베개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여태 책프에 참여하면서 누르하치를 중점으로 다룬 여러 책을 리뷰했으나 그 제목이 정면으로 "누르하치"라 붙은 이 책을 아직 안 읽고 있었습니다. 누르하치는 중학교 국사, 세계사 교과서에도 나오고 그 특유하게 게슴츠레한 눈매라든가 느끼하고 음흉한 입매가 인상적이었던 인물이었습니다(교과서에 그 얼굴을 묘사한 당대 혹은 근시대 초상 도판이 실림). 저자는 개인적으로 누구인지 잘 몰랐던 분이고 역자는 중국 전문가로 유명한 홍순도 기자입니다.


애신각라는 제가 배웠던 중학교 교과서에서 각주로 "신라를 사랑하고 기억하라"는 설이 있다고 나왔을 만큼 (이상하면서도) 우리 한국인들에게 친숙한 문구(?)입니다. 물론 청 제실의 성씨이죠. 많은 학자들이 "아이진-궈러" 단위로 떼어 읽어야 옳으며 따라서 저런 해석은 근거 없다고 주장하며 또 그것이 타당하겠습니다만 여튼 한국인에게는 묘한 매력을 풍기는 구성임에 틀림 없습니다. 과거 거란이나 여진의 금은 불교를 공식적으로 숭상했습니다만 청 황실은 티벳을 중시했을망정 불교를 떠받들지는 않았는데 여튼 그들의 발상지에 "만주"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청조가 망하고 나서, 또 일제가 최종적으로 패망한 후에, 이 "만주"라는 이름은 중국에서 (다른 이유 때문에) 아주 금기시됩니다.


테무진이 몽골(몽고) 부족을 통일하고 동아시아에 거대 제국 초석을 세웠을 때 경제 문제에도 잘 대처했다는 말은 없습니다. 아예 이 분야에 대해 무지했다고 평해도 무방할 테며, 뭐 그저 약탈에 의존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닙니다. 그런데 누르하치는 그 사나운 여진 부족을 통일한 것만으로도 대단한 업적이었으나 이후 무엇으로 이 대단위 국가가 먹을거리를 유지할지에 대해 일정 부분 해답을 내놓은 지도자이기도 합니다. 


또 통일 과정에서의 살상이 테무진보다는 덜했다고 봐야겠는데 그만큼 정치술이 뛰어나서이기도 합니다. 몽골과는 달리 여진은 근거지가 다르므로 남방에 위치한 탄탄한 나라 조선과의 관계를 결코 등한시할 수 없었는데 누르하치는 그 점에서도 탁월했습니다. 우리는 서인 정권의 잘못된 대처로 겪은 치욕인 병자호란의 결과만 갖고 조선 정부 전체의 무능을 짐작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았습니다. 


누르하치는 그야말로 "도광양회" 스탠스로 나아가다 드디어 역량이 충분해졌다 판단하고 "칠대한"을 선포하는데 마치 마오쩌둥이 자주 입에 올린 "애병불패"가 떠오르기도 합니다. 대단한 역량을 갖춘 지도자였고 신기하게도 그 후계자들 역시 범상치 않은 능력자들로 대체로 이어지기도 합니다만 건국 과정에 깃든 여러 행운도 참 보기 드문 정도의 것입니다. 이래서 천하는 하늘이 내린다는 말이 있지 않나 싶지만, 그런 행운 역시 다 능력 있는 자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