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다
아모스 오즈 지음, 최창모 옮김 / 현대문학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어에는 "죽음의 키스"라는 말이 있습니다. 예수의 제자 중 한 사람이었던 유다가, 로마 병정들에게 그의 스승을 넘길 때 누구인지 알리는 표지로 예수에게 입을 맞춘 데서 유래했다고도 합니다. 많지도 않은 금전적 이익을 탐 내어 스승을 팔아남겼다는 게 성경에 나오는 문면이며, 이런 이유에서 종교적 입장의 차이를 불문하고 한 인간으로서 비난 받아 마땅하다는 게 중론이며 문화권 따지지 않고 배신의 아이콘으로 꼽히는 게 현실입니다. 그런데 소설가, 영화 감독 등에 따라서는 "스승의 위대한 구원 사업을 앞당기기 위해" 그가 악역을 자청한 면이 있다고도 합니다. 하긴 모든 일이 "아버지의 뜻대로 될 뿐"이라고 했으며 이 사람의 배신행위까지 미리 내다 본 예수 자신의 언급이 있으니 또 모를 일입니다.

그런데 이 소설의 작가 아모스 오즈는 독특한 말을 하고 있습니다. 유다가 배신자의 대명사로 낙인 찍히고 그토록 오랜 동안 증오의 대상이 된 이유는, 1) 유대인들이야말로 끝까지, 심지어 지금에 이르기까지 예수가 구세주임을 결코 인정하지 않은 이들이며, 2) 12제자 중 한 사람이었던 유다가 그저 개인이 아니라 저런 유대인들을 대표, 제유하는 존재였기에 수천 년 동안 그런 대접을 받아 왔다는 것입니다. 하긴 우리도 어렸을 때 저 "유다"의 이름을 처음 듣고, "유대인"이라고 할 때 그 "유대"와 발음이 비슷하여 혼란을 느낀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때는 그저 나이가 어려서 학습상의 불편을 겪는 중이겠거니 스스로 판단했으나, 이 소설의 작가는 유다의 히브리형 이름 본모습까지 연구하여 "그저 발음이 비슷한 게" 아니었음을 주장합니다.

도스토예프스키는 그의 대표작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에서 캐릭터인 대심문관을 등장시켜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들 인간은 너무도 사악하고 어리석어 대체 구원받을 가망이라는 게 없다. 너예수가 천 수백 년 전 지상에 와서 너무도 힘든 숙제를 우리 어깨 위에 짐지우고 돌아갔을 때, 나 같은 사람들은 오만한 너를 대신하여 그 짐을 어리석은 인간들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낮춘 것이다." 예수를 지상에서 대변한다는 자(가톨릭의 성직자)가 오히려 예수를 단죄하며 그 "오만함"을 꾸짖고 있으니 기막힌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습니다만 저 말에도 일리가 있으니 더욱 기가 막히죠. 이 소설 속에 등장하는 많은 인물들도 하나같이 종교, 구원, 거듭남의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입니다. 예수가 그르다는 게 아니라, 인간이라는 게 그만큼 가망이 없는 존재라는 뜻에 가깝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유다는 최초이자 최후의 기독교인이었으며, 그랬기에 기독교 문명권과 유대인들에게 똑 같이 경멸받고 저주 받았다는 뜻입니다.

슈무엘과 발드는 마치 <카라마조프의 가의 형제들>에서 알료샤와 바냐가 싸우듯 끝도 없이 싸웁니다. 물론 두 사람의 논쟁은 저 러시아의 형제들이 벌이는 말다툼에 비하면 호각지세이긴 합니다. 이 소설에서 가장 인상 깊은 대목은 "예수나 유다나 결국 동시대인들에게 이해 못 받았다는 점은 같다"였습니다. 작가 역시 글로벌리스트 스탠스에서 외부인들, 심지어 팔레스타인 사람들이나 무슬림과 친하게 지내다가 동족들로부터 비난 받은 점이 저들과 비슷합니다. 세상은 플라톤이 말한 종족의 우상, 동굴의 우상으로부터 빨리 탈출하는 사람들이 많아질 때 소위 "진보"라는 게 가능해지는 법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