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도 버린 사람들
나렌드라 자다브 지음, 강수정 옮김 / 김영사 / 2007년 6월
평점 :
내가 아는 인도는 류시화시인이나 많은 여행가들에게서 들었던 정신의 나라 그래서 죽기 전에 꼭 한 번은 가고싶은 아니 가야만 할 것 같은 나라였다.
운명에 순응하면서 살아가는 그들의 모습은 초월적 인간의 모습이라고만 생각하면서 세속에 얽매여 살아가는 나 자신에 대한 반성을 하게 만드는 나라가 내 안의 인도였다.
신도 버린 사람들이란 책을 통해 만나게 되는 인도는 나에게 앞서와는 다른 또 하나의 가슴 깊숙이 찔러오는 반성을 하게 만들고 있다. 폐부까지 파고드는 이 지독한 통증에 몸을 매번 뒤척여야 할 정도로....
인도엔 카스트 제도라는 것이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다. 그 계급이 언급되어있는 힌두경전 [리그베다]에, 우주를 창조한 신 푸루샤의 입은 사제인 브라만이 되고, 팔은 군인계층인 크샤트리아, 허벅지는 상인계급인 바이샤가, 두 발은 노예인 수드라 계층이 탄생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 이 네 계급을 사성제라고 말하는데, 이 사성제에도 들지 못하는 계급을 아웃카스트라고 하여 불가촉천민이라고 부른다 한다.
인도에서 가장 낮은 계층인 불가촉천민...
개와 당나귀 이외의 재산은 갖지 못한 채, 교육도 받을 수 없고, 더러운 자신의 발자국을 지우기 위해 엉덩이에 빗자루를 매달고 다녀야 하고, 오염원이란 취급을 받으며 공용 물도 함부로 먹을 수 없는 사람들, 인분을 나르거나 가축의 시체를 치우는 천한 일을 하며 생계를 유지해야하는 책 제목처럼 신도 버린 사람들이 인도의 불가촉천민이었다.
이 책은 바로 그 불가촉천민으로 태어난 저자의 아버지와 어머니의 이야기가 실려있다. 아버지 다무가 바바사헤브 운동에 참여하면서 자신의 권리와 존엄성을 찾아가는 이야기이다..바바사헤브는 인도의 평등혁명을 이끈 사람으로 마하르 집단에서 태어난 빔라오 람지 암베드카르 박사를 지칭한다. 그는 20세기 달리트들의 운동을 이끈 지도자로 달리트에게 동등한 시민의 자격을 부여하고 불가촉 제도를 폐지하며 차별금지를 위한 법적장치를 마련하라는 요구를 담은 운동을 펼쳤다.
달리트. 즉 불가촉천민들로 살아가고 있는 그들의 삶을, 이 책을 통해 똑바로 직시하게 되어 다행이란 생각이 들었다. 아니, 솔직히 이 책은 나를 부끄럽게 만들었다. 부끄러움에서 시작하게되는 반성을 만나게 한 책인 것이다.
"여러분의 권리를 빵 부스러기 한 줌에 판다는 건 더할 수 없는 수치입니다. 우리가 자조의 정신을 배우고 자존심을 되찾고 자각해야만 우리의 지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53쪽
불가촉천민은 카르마[운명]의 논리에 세뇌되어 온 삶을 살아온 사람들이다. 그러나 그 세뇌는 그들만의 것이 아니라 전 세계민들이 함께 하고왔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니 적어도 나는 그런 세뇌 속에 살고 있었음을 고백하며, 부끄러움에 고개를 떨구며 반성을 하게 된다. 나는 그들이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며, 불평없이 현생의 삶을 사는 모습에 영적인 동경을 하면서 살았다. 삶은 그런 세속의 초월에서 오는 것이라고, 또한 자신의 역경을 초월한 곳에서 오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은 불가촉천민이라는 삶은 운명이 아니라 제도가 만들어낸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옳지못한 제도엔 일어서 맞서야 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나는 왜 그들의 계급제도를 제도라고 생각하지 못 한 채, 다만 그들처럼 운명이라고만 생각하는 어리석음을 보였던 것일까..생각없이 그냥 흘러가는 조각배에 몸을 실어놓듯 그렇게만 그들을 바라보고, 의식해 오다니 무엇이 영적인 나라며, 성자의 모습을 지닌 나라였다는 것일까..
드러나 보이는 것만이 전부가 아님을 다시 한 번 깨달으며, 언제나 좀 더 가까이 다가서려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는 사실을 느낀다.
권리는 구걸하는 것이 아니라 투쟁하는 것이라는 글귀를 보면서, 그들의 삶 역사를 다시금 되돌아 보게 된다.
아직도 인도엔 카스트 제도의 잔재가 남아서 차별이 있다고 한다.
자신의 존엄성을 되찾기 위해, 노력하며 살아가는 인도의 불가촉천민 계급을 지닌 달리트들에게 이제라도 힘을 실어주고 싶다. 운명이 아니라 불평등한 제도였으며, 그것을 지키기 위한 특권층들의 폭력을 가장한 종교였다고 그러니 이제는 순응이 아니라 자신의 선택으로 만들어 가는 삶을 살아가라고 말이다.
세상의 모든 인간은 존귀하다..인간은 누구나 존귀하기에, 누구의 아래에 있지도, 위에 있을 수도 없다. 우리는 그 사실을 잊어서는 안되겠다..아니, 나는 다시는 그 사실을 잊지않을 것이다. 운명도, 제도도 인간의 존엄성을 저울질할 수는 없다는 사실을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