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방사능이 유출되면 안 되나요? 왜 안 되나요? 시리즈 37
홍상하 지음, 손진주 그림 / 참돌어린이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돌어린이] 왜 방사능이 유출되면 안 되나요? - 방사능은 정말 무서워요..  

 


* 저 : 홍상하
* 그림 : 손진주
* 출판사 : 참돌어린이

 

 

여름 휴가를 떠나면서 가지고 가면서 읽었습니다.
왜 시리즈는 아이랑 제가 좋아하는 시리즈 중 하나거든요.
이번 책은 조금 주제가 무거웠습니다.
실제로 몇년전에 일어난 일본의 방사능 사고로 인해서 전 세계가 사실 아직도 영향을 받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해산물도 많이 안 먹게 되고, 원산지도 꼭 확인하게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도 모르게 들어오는 피해도 있겠죠..
하지만 그 영향이 확.. 와 닿는게 아니기 때문에 너무 안일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도 많이 있습니다.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방사능이 뭔지, 얼마나 방사능이 위험한지 등을 알 수 있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지훈이는 우연히 폴란드에서 온 파란 눈의 할머니를 만납니다.
자신의 평상시 습관 때문에 자주 혼이 나지만 왜 혼나는지도 잘 몰랐던 지훈이지요.
원자력 발전소에서 터빈이 돌아가면서 전기를 만들고,
우라늄 1그램이 석유 9드럼, 석탄 3톤을 태워 만드는 에너지와 같이 많은 에너지를 만든다는 것도 알게 되죠.
많은 에너지를 만들기는 하지만, 방사능이라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게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생기는 폐기물이 문제가 되죠.
방사능 폐기물이란, 방사능에 노출되었거나 발전기를 돌리는데 사용했던 물, 분열되고 남은 우라늄 같은 것들인데요.
이를 처리하는 기술이 아직 발달되지 않아서 발전소 안에 쌓아두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 장소들이 점점 없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할머니와 함께 시간 여행을 통해 1946년부터 1958년까지 무려 23번이나 핵 실험이 계속된 비키니 섬을 가보게 됩니다.
그러면서 왜 방사능 피폭이 위험한 것인지를 서서히 알게 되죠.
50여년이 지났음에도 아직도 그 영향이 있다고 하니 더 무서운 일입니다.
1986년 4월 26일에는 우크라이나의 체르노빌에서 원전 사고가 발생합니다.
50여명이 목숨을 잃고 무려 20만 명 이상이 피폭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도 위험한 방사능 물질이 줄어들려면 앞으로도 900년이 지나야 한다고 합니다.
게다가 가까운 일본도 2011년 3월 11일에 사고가 발생했죠.
최악의 사고라도도 할 수 있답니다.

 

마리 할머니와 그렇게 여행을 떠나고도 누군지 몰랐는데, 유리를 통해서 마리 퀴리 부인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리고 방사능 물질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겠다는 지훈이.
친구들을 만나자마자 위험성을 설명해주고 스스로 에너지를 아끼기 위해서 노력합니다.
조금은 자란것 같죠?

 

위험하다고만 알고 있었지 어느 정도 위험한지 몰랐던 방사능 유출.
이번 기회에 아이들과 원자력 에너지는 물론 위험성에 대해서도 알게된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에너지를 아끼는 일부터 실천할 수 있도록 해야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