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코스키의 시집을 샀다.

 

  보들레르와 브레히트, 랭보와 백석 사이에서 갈등했지만 부코스키를 선택했다.

 이런 날것같은, 의미라고는 1도 없을 것 같은 글을 쓰는 부코스키가 좋았다.

 그의 소설도 좋지만 시는 더 꿀렁거린다.

 시집을 샀는데 그냥 좋았다고 했더니 친구가 심각하게 (?) 카톡을 보냈다.

 -부코스키가 왜 좋아?

 라고..

 -그냥 좋아 왜? 라고 반문하자.

친구는 불편하다고 했다. 우체국을 겨우 읽고 여자들을 읽다가 덮었다고 했다.

 오버스럽기까지 한 마초같은 글이 소화되지 않는다고 했다. 덧붙여 롤리타를 읽으며 거북했었다고 했다.

 나보코프를 아주 좋아하는 나..

-내가 아마 피학적이거나 변태적일만큼 적나라한걸 좋아하나봐..

 라고 대답을 하고 한참 웃었다.

 

절친인데, 서로 멀리 떨어져있어도 언제나 사랑하고 서로를 읽고 기댈 어깨를 내주는 친군데 이렇게 취향이 다르다니..

 

 

 

 

 

 

 

 

 

 

 

 

 

 

우체국을 읽고, 여자들을 읽고 얼마전 호밀빵 햄 샌드위치를 배송받았다.

항해사 일을 오래했다는, 바다 위의 일을 호메로스의 오딧세이보다 환상적으로 이야기하시는 우리 동네 백씨 할배와 닮았다.

할배는 막걸리 한 잔을 묵묵히 드시고, 두 잔 째를 마시며 주위를 살피고 세번째 잔을 따라놓으시면 멀고 먼 바다의 이야기를 하신다.

어쨌든, 부코스키가 왜 좋아? 라는 말에 나는 날것이라서 좋다고 했다. 모순적이며 마초적으로 보일만큼 허세 가득한 유약함을 들켜서 좋다고 했다. 삶의 진실이랄지 의미랄지 하는 것에 묶이지 않고 살아내는 것이 오히려 애틋하리만치 끌어안은 삶에 대한 애정으로 읽혔다.

 

부코스키가 왜 좋아?

라는 물음이 자꾸 들린다.

그냥..이라고 대답한다.

그러고보니 나는 사드도 매우 좋아한다.

 

   내 책꽂이 한 쪽에 나란히 세워져있는 책..그 옆에는

  

 

 

 

 

 

 

 

 

 

 

 

 

 

 

 

참 맥락없이 읽는다. 닥치는대로..잡히는대로..

어쨌든..아직 부코스키는 본능의 해방구같은 의미인지도 모른다.

당분간은 호감으로..자주 선택될 부분으로 남겨두기로 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06-10 17:0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뜬금없이 어떤 책이 읽고 싶은 마음은 독서를 좋아하는 사람 누구에게나 있는 경험인 것 같아요. 여성 혐오, 페미니즘 관련 책을 읽으니까 갑자기 사드나 성을 주제로 소설을 읽고 싶어졌어요. 포르노 규제를 찬성하는 페미니스트와 이를 반대하는 페미니스트를 비교해보고 싶은 것도 있지만, 제가 몸과 마음은 여전히 팔팔한 청년이라서... ㅎㅎㅎ

나타샤 2016-06-10 17:04   좋아요 1 | URL
청년이라면 한번쯤 읽어봄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