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그냥 지나쳤다. 집에 중환자가 있으면, 그렇게 하는거라고 ..

시어머님께서 많이 편찮으셨고 여전히 그렇다. 아직도 차도가 조금 있을 뿐 병원을 벗어나지 못하셨다. 의사표현도 아무것도 못하시는 어머님을 매일 뵙고 종알거린다. 혹여 반응하는 단어가 있을까해서 말이다.

그렇게 하다보니, 내가 꺼낼 수 있는 말들이 몇개 없구나 싶다. 꾸역꾸역 읽고 남김없이 배설해 버리지 않고서야 어떻게 흔적조차 남지 않는걸까?

어쨌든, 몸은 고되고 마음을 헛헛하다. 더불어 가난해짐으로 책을 얻어읽겠노라 공언을 했다. 이 무슨 뻔뻔함인가..

이런 저런 사정을 알고 있던 이웃이 책을 선물했다.

고맙게도...

 

  1945년을 세계는 함께 겪었다. 안 그런 해가 없겠지만 이 시기를 깃점으로 많은 것들이 변했다.

 세계의 판도는 동서로 남북으로 구획정리가 되기 시작하지 않았을까? 본격적인 현대사의 시작인 지점. 원래 시작은 1년이겠지만 0년으로 명명한 이유가 사뭇 궁금해진다. 출판사 서평에 나온 간략한 이야기 말고..그럴 수 밖에 없던 이야기가 궁금해진것이다.

 대학에 들어 가 처음 읽었던 책이 "해방 전후사의 인식"이었다.

 변화의 시작을 1945년을 되짚는 것으로 시작한다는 묘한 데자뷰를 혼자 느끼며 감사히 읽기로 한다.

 

 

 

 

 

 

 

가난에 쩔어 살아도 읽어보겠노라 주문한 책이 연휴 전에 도착했다.

 

 

 

 

 

 

 

 

 

 

 

 

 

 

참 아까운 정치인, 혹은 활동가 이정희의 이름을 보고서야 그녀의 근황이 궁금해졌다. 진보당원도 아니었고 무엇도 아니었지만 그녀를 응원했던 건 진심때문이었던 것 같다. 어디서건 자신의 몫을 해내고 있을거라고, 어떤 식으로든 다시 국민들에게 돌아올거라고, 믿고 있었던 까닭일지도 모른다. 어쨌든 반가움과 동시에 그녀의 시선을 읽고 싶었다.

이인휘의 폐허를 보다..이만큼 강건한 노동의 글을 다시 볼 수 있을까?

누가 그랬다. 더이상 "노동문학은 없다.문학노동만이 남았다"라고 말이다. 현장으로 들어간 작가보다 작가의 책상으로 올라간 노동이 더 많았다. 현실이 아닌 환상. 꿈. 막연함. 이런 것들이 담아내는 노동의 의미는 뒷맛이 썼다. 어쨌든 가검을 들고 설치는 사람들 사이에 제대로 벼린 날 선 진검을 든 검객이 나타난 셈이다.

미야모토 테루의 책과 파놉티곤..

 

주문한 네권의 책과 선물 받은 한 권의 책으로 명절 연휴를 준비한다.

어머님께 들려드릴 새 단어들을 발견하면 좋겠다. 새 이야기들이 있으면 더 좋겠구..

잠시나마 책 조차도 덮고 퍼질러 잘 수 있으면 더 더 좋겠다.

 

다음 추석은 제대로 지낼 수 있을까? 이렇게 또 넘어가고 싶지 않은데...5일간의 휴일과 다섯 권의 책으로 명절을 준비한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02-06 15: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설 연휴 즐겁게 보내세요. ^^

나타샤 2016-02-06 16:40   좋아요 0 | URL
평안하시길 ~~^^

나타샤 2016-02-06 16:42   좋아요 0 | URL
죄송해요..닉을 착각해서..이제 꼬옥~기억할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