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의 산문은 보다. 축약되고 간결해졌다. 새로운 힘이 느껴졌다. 마치 일종의 불가사의하면서 초자연적 힘을 통해 기계의 힘이 종이에 찍히는 단어로전이되는 듯했다. 쾨젤리츠는 편지에 "아마도 이 기기를 이용하면서 새로운 언어를 갖게 될 것이네" 라고 쓰면서 자신의 작업에 대해서는 "음악과 언어에 대한 나의 생각들은 펜과 종이의 질에 의해 종종 좌우되지" 라고 말했다. 니체는 이에 대해 "자네의 말이 옳아. 우리의 글쓰기용 도구는 우리의 사고를 형성하는 데 한몫하지"라고 답했다.
우리의 유전자는 뉴런들 사이의 연결, 즉 어떤 뉴런이 다른 뉴런과 언제 시냅스 간 연결을 형성하는지에 관해 상당 부분을 지정한다. 유전적으로 정해진 이같은 연결들은 칸트가 말하는 선천적 원형, 즉 뇌의 기본적 구조와통한다. 하지만 우리의 경험은 이 같은 연결의 힘, 곧 ‘장기적 효력‘ 을 규제하며 로크가 말한 대로 사고의 재형성과 ‘새로운 형태의 행동에 대한 표현‘을 가능케 한다. 경험주의자와 이성주의자들의 상반되는 철학은 시냅스에서 공통분모를 찾는다. 뉴욕대학교의 신경과학자인 조지프 르두Joseph LeDoUV는 『시냅스와 자아 Synaptic Self, 라는책에서 천성과 양육은 실상, 같은 이야기라고 적었다. 양쪽 모두는궁극적으로 뇌의 시냅스 조직 형성을 통해 정신적·행동적인 영향을 받는다.
다시 말하자면 유연하다는 것이 곧 탄력적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우리의 신경 회로가 고무줄처럼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지는 않는다는 얘기다. 이 신경들은 변화된 상태를 유지하며, 새로운 형태가 더났다는 보장도 없다. 나쁜 습관은 좋은 습관만큼이나 빨리 우리의 뉴런을 파고든다.
시계는 단순히 더욱 정확하고 화려해졌을 뿐 아니라 더 작아지고저렴해졌다. 소형화 기술의 발달로 집 안에 놓거나 또는 들고 다닐수 있는 저렴한 시계가 탄생했다. 공공 시계의 확산 덕분에 시계 없이는 더욱 통제된 사회의 일원으로 살았을 이들의 일과 쇼핑, 여가활용 방식에 변화가 생긴 한편 벽시계, 회중시계, 손목시계 등 시간을 재는 개인 도구의 확산은 더욱 본질적인 변화들을 가져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