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 1
초평화 버스터즈 지음, 이즈미 미츠 그림 / 대원씨아이(만화) / 2014년 4월
평점 :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4/0826/pimg_7730511441059465.jpg)
『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이하 『그날 본 꽃』)는 애니메이션이 원작이다. 2011년 TV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고, 큰 인기를 끌어 2013년에는 극장판 애니메이션도 제작되었다. 극장판의 경우 올해 우리나라에서도 개봉했는데 보지 못한 것이 아쉽다. 일본에서는 만화책뿐 아니라 애니메이션 각본가가 직접 쓴 소설도 출간되었다고 한다(소설의 한국어판은 출간되지 않았다). 이렇게 많은 인기를 끈 작품이라고 하니 궁금할 수밖에 없다. 일단 만화책의 그림체는 애니의 그림체를 꽤 잘 살린 것 같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4/0826/pimg_7730511441059466.jpg)
어느 여름의 끝자락, 진탄 앞에 한 소녀가 나타난다. 그녀는 어린 시절 친구였던 멘마. 하지만 그녀는 진탄에게밖에 보이지 않는다. 멘마는 자신이 '소원'을 이뤄주길 바라는 것 같다며 진탄의 곁을 맴돈다. 오랜 시간이 지나 변해버린 친구들 중 유일하게 진탄이 멘마를 본다는 것을 믿는 건 포포뿐이다. 포포를 시작으로 어릴 적 늘 함께였던 여섯 친구들이 차츰차츰 다시 모이기 시작한다.
변하지 않았어. 다들 그 시절 그대로야--.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4/0826/pimg_7730511441059467.jpg)
이 작품을 보자마자 우라사와 나오키의 만화 『20세기 소년』이 떠올랐다. 악의 조직에 대항해 세상을 지키겠다는 당찬 포부를 지녔던 켄지와 친구들처럼 『그날 본 꽃』에서도 진탄을 비롯한 여섯 아이들이 세계의 평화를 지키겠다는 장대한 목표 아래 '초 평화 버스터즈'를 결성한다. 문득 나의 어린 시절을 돌아보게 된다. 한 동네에 살고, 한 학교에 다니고, 그래서 이유 같은 건 생각할 필요도 없이 당연히 함께였던 친구들이 내게도 있었다. 학교가 끝나면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집 앞 골목에 모여 뛰고 구르고 소리지르며 놀던 친구들. 평생 함께 하자며 새끼손가락 걸고 엄지손가락 도장 찍고 얼굴만 봐도 까르르 웃음이 터지던 친구들이 말이다.
지금은 그 시절 친구들을 볼 수 없다. 어디서 무엇을 하며 사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다시 만난다면 나조차 기억 못하던 그때의 추억들이 서로의 눈과 입을 통해 새록새록 되살아날 것이다. 그것이 꼭 좋은 추억이라는 보장은 없지만 말이다. '초 평화 버스터즈'도 마찬가지이다.
이제 과거로부터, 혼마 메이코로부터 도망 다니는 것도... 끝일지도 모르지.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4/0826/pimg_7730511441059468.jpg)
과연 멘마의 소원은 무엇일까. 그리고 여섯 친구들이 도망쳐야만 했던 과거는 무엇일까. 밝은 그림체와 명랑한 여주인공이 등장함에도 불구하고 『그날 본 꽃』은 미스터리의 기운이 짙게 느껴지는 독특한 작품이다. 나처럼 만화책으로 이 작품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호기심을 강하게 자극당할 것이다. 미스터리가 풀리기를 기다리며 스스로의 옛 추억을 살짝 들춰보는 시간을 갖는 것도 의미있지 않을까. 잊고 싶은 기억도 있겠지만 없던 일로 하기엔 분명 아까운 시간들이었을 테니 말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4/0826/pimg_773051144105946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