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건방이의 건방진 수련기 1~4 세트 - 전4권 건방이의 건방진 수련기
천효정 지음, 강경수 그림 / 비룡소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큰 애가 10살인데 주로 만화책만 보는 것이 걱정되었다.

그래서 글자 많은 재미있는 책을 찾던 중 이 책을 발견했다.

무협지는 남자의 마음을 뛰게 하는 분야이니, 아들의 심장에도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라 확신했다.

 

어제 네 권이 왔는데, 저녁 내내 읽더니 3권까지 그 자리에서 다 읽었다.

4권은 학교에 들고 갔다.

나는 아들에게 '수업시간에는 보지 마라'라고 충고해 주었다.

하지만 나는 이 충고가 지켜지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학교에서 보는 무협지, 수업시간에 보는 무협지야 말로 진정한 무협 독서이기 때문이다.

 

아마 지금쯤 아들의 손은 검으로 변해 있을 것이고, 손에서는 장풍이 나가고 있을 것이다.

아들아, 너는 이제 남자가 되었다. 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모 비룡소 걸작선 13
미하엘 엔데 지음, 한미희 옮김 / 비룡소 / 1999년 2월
평점 :
품절


앞으로 시우수아가 크면 읽지 않을까 기대하며 샀다.

사실은 하도 유명한 책이라 한번 읽어보고 싶어서 샀다.

애들 핑계로 아내를 꼬셔서 샀다.

잘 산 것 같다.^^

 

모모의 특기는 주위의 사람들과 함께 시간을 나누기이다.

사람들은 모모에게 와서 자기 이야기를 하고,

모모는 가만히 앉아서 그의 이야기를 들어준다.

그러면 사람들은 치유 받고 돌아간다.

듣기, 상담의 기본적 기법이 아니던가...

 

모모의 마을에 회색신사들이 나타났다.

그들은 사람들에게 시간을 절약하라고 꼬드기며, 시간을 가져간다.

이후 사람들은 시간을 아낀다는 미명하에

시간 속에서 허덕이게 된다.

이전에는 시간의 주인이었다면, 이제는 시간의 노예가 되어 버린 사람들.

그런 자신의 모습을 싫어 하면서도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들.

맑스가 말하는 소외된 인간의 전형이 아닌가!

 

그러고보니

회색신사들이 빼앗는 것은 '시간'이다.

맑스는 자본론에서 자본가들이 프롤레타리아를 착취하는 것은

'잉여노동시간'이라고 말했던 것 같은데...

혹시 작가는 회색인간을 현대 사회의 자본가에 대한 비유로 삼은 것일까?

아님 말고^^

 

그 대인은?

동화를 읽으면서 너무 큰 기대는 하지 마라.

그냥 우리가 얼마나 소외된 삶을 살아가는지만 깨달으면 되지 않겠는가?

이 한마디만 기억하자.

"시간은 삶이며, 삶은 우리 마음 속에 깃들어 있는 것이다."

씹고 씹고 또 씹어 볼 말이다.

시간은 시계가 아니라, 삶이다.

 

동화로서도 정말 훌륭하고,

어른이 읽어도 재미있고,

현 사회에 대한 통찰을 얻기에도 충분하다.

(요즘 나는 이론서보다는 소설을 통해 만나게 되는 통찰들이 참 좋다.

  이론서보다는 소설을 통해 형상화되는 것들이 더 내게 와 닿는다.)

 

나도 모모가 내 옆에 있으면 좋겠다.

아니 내가 시우수아에게 모모가 되어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

내가 시우수아에게 회색신사는 아닐까?

갑자기 걱정되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