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골든 슬럼버 - 영화 <골든슬럼버> 원작 소설 ㅣ Isaka Kotaro Collection
이사카 고타로 지음, 김소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That's 감시사회. 지금으로부터 60여 년 전 조지 오웰은 <1984>를 통해 개인이 파멸되는 국가체계의 위험성을 고발했다. 정말 그런 시대가 올까 싶었던 과거가 지나고 소설 속 세계는 현실로 다가왔다. 좀 더 자유롭고 인간적으로 포장되었지만. 국가라는 권력으로, 국민의 안전이란 명목 아래 자행되는 감시 체계들과 그 권력 유지를 위한 한 사람 희생시키기는 여전하다.
조지 오웰 후 60여 년, 여기 국가에 의해 범인으로 만들어진 쫓기는 자가 있다. 비틀즈의 골든슬럼버를 흥얼거리며 스타일 좀 구겨도 일단 도망가고 보는 이 남자 아오야기 마사하루. 이사카 코타로는 또 한번의 거대한 희생자를 만들어냈다.
어느 날 센다이 시내에서 퍼레이드 중이던 총리가 폭탄에 의해 죽는다. 그리고 이유 없이 쫓기는 아오야기 마사하루. 생각해보니 지난 과거 그에게는 이상한 일들이 '좀' 있었다. 온 도시가 자신을 노리며 좁혀오는 사이, 그는 어떻게 무사히 이 난관을 헤쳐나갈 것인가. 그의 현재와 과거, 그를 돕는 사람들의 시선이 실타래처럼 엉킨 가운데 서서히 그 베일이 벗겨진다.
소설의 구성이 다소 남다르다. 사건의 시작, 사건의 시청자, 사건 20년 뒤, 사건, 사건 석 달 뒤로 나누어진 매뉴얼은 같은 사건을 바라보는 몇 가지 관점을 소개해준다. 범인으로 몰린 자를 아는 사람의 눈, 완벽한 제 3자의 눈, 과거의 사건을 보는 눈, 그리고 쫓기는 자의 눈. 같은 사건을 바라보는 데 어쩜 이렇게 다른 양상이 나타날 수 있을까 싶은 생각이 들다 문득 자신을 바라본다. 아, 사소한 일일지라도 나의 관점과 3자로서의 관점은 얼마나 다르던가. 하물며 사회적 이슈가 된 일이야 두 말 하면 잔소리다.
사건의 중심에 '내'가 있는 것과, 사건의 밖에서 바라보는 '3자'가 되는 것은 분명 다른 일이다. 얄궂게 내 편이 되어 주지않는 사람들을 비판하지만 또한 안다. 같은 상황 반대편에 있다면 '나' 또한 지금의 그들과 같으리란 것을. 그렇기에 사건 속 쫓기는 자인 아오야기의 생각은 곧바르다. 무조건 세상을 미워할 법도 한데, 그저 굳은 의지로 도망다닌다. 조금의 도움에 감사하고, 조금의 배신에 아, 괜찮죠 라고 말한다. 뭐, 그런 천성이 결국에는 그를 삶으로 인도한 것이겠지만.
이 책은 상당히 직설적으로 현대 사회의 문제를 고발한다. 국가 권력이 어디까지 개인의 자유와 사생활을 침범할 수 있는가에 대한 윤리문제, 더 이상 진실이 아닌 이야깃거리를 파는 방송사, 국가적 음모론을 위한 개인의 희생. 분명 이성적으로 생각해서 이루어지면 안 되는 일들이지만 천연덕스럽게 상황은 모든 것을 합리화시킨다. "상황이 이러니까." 한 마디면 모든 것이 ok이다. 길거리에서 총을 난사하는 것도, 민간인을 패는 것도. 국가란 이미 국민을 위함이 아닌 권력 지향점의 정점일 뿐이다.
그러나 그런 무시무시한 국가에도 여전히 정을 느끼고, 사람을 생각하는 국민이 있다. 다행히도 이야기는 피범벅으로 끝나지 않고, 책을 읽는 독자들 또한 공포에 전율하지 않고 역시 사람이 이기는구나, 라며 담백하게 책을 덮을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 해서 다행이다, 를 되뇌며 덮어버리면 조금 곤란하다. 어쨌든 이사카 코타로는 우리에게 이거 좀 문제 있죠, 라며 대놓고 알려준 셈이니까. 그러니 책을 책장에 돌려놓기 전에 한 번 가만히 쳐다보자. 아마 피해자일 듯한 표지 속 그의 얼굴을. 지금 편안히 앉아 컴퓨터를 만지작거리는 당신이 다음 피해자가 될 지 모르는 일이다. 표지 속 남자의 눈물, 잊고 싶겠지만 현대를 사는 우리를 위한 또 하나의 경고이자, 자화상인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