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 - 박경리 시집
박경리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그 시절을 온전히 표현해내는 글을 보고 싶지 않아서라는 이유를 앞세우고 여태껏 만나보지 못한 토지의 작가 박경리. 얼마 전 한국문학계의 큰 별이라 일컬어지던 그 분이 돌아가셨다.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는 그 분의 딸이 말년 박경리 작가의 시 구절들을 묶어 펴낸 시집이다.
 

100페이지를 조금 넘는, 시집은 참 얇다. 간결하고 진실하다. 마지막 가는 길에 아무 것도 없이 빈 손으로 가시려 신건지 마지막 한 방울까지 꼭 짜내 글로 풀어놓고 가신 듯. 글에는 미련도 덧씌움도 보이지 않는다. 그저 한 획에 그려낸 필체같이 한 줄 한 줄에서 마음이 전해져 온다.

 
언제나 수십 장, 수백 장의 파지를 내며 작품 하나를 완성해왔다는 박경리 작가. 그러나 이번 시집만은 그다지 고치지도, 더하지도 않고 물 흐르듯 쓰셨다는 시 구절들. 그 자연스러움이 절절히 한 편의 노래가 되어 활자로서 종이 위를 흐른다.

 
시는 크게 4파트로 나뉘어져 있다. 1_옛날의 그 집, 2_어머니, 3_가을, 4_까치설까지. 처음에는 아무 생각 없이 주욱 읽어나가기 시작했는데 다 읽고 한 번 휙 하니 책장을 다시 넘겨 보니 정교하게 짜여진 그룹이 아닌가 싶다. 삶의 이야기. 어머니, 할머니로 이어지는 추억의 단편들. 삶을 살아오며 느낀 이래 저래한 일들, 넉넉하고 토속적 문체로 포장했지만 그 안에 날렵한 비수를 숨긴 현대에 대한 비판까지.

 
한 번 읽을 때는 모르는 단어와 마음까지 와 닿지 못하는 구절들에 활자를 읽어 내려갔다. 그리고 다시 들여다본다, 가만히. 여전히 알쏭달쏭한 구절 구절들이지만 어렴풋이 그림이 그려진다. 뒤로 넘어가 박경리 작가의 사진들을 또 가만히 쳐다본다. 꿈 많은 젊은 시절, 나이 드신 모습, 그럼에도 정정하게 삶을 살아가는 모습들까지. 다시 본 시 구절들이 이제는 하나의 풍경이 되어 마음을 적신다.


참 잔잔하다. 애잔하다. 그러나 통곡의 슬픔이 아니고, 늦은 깨달음도 아니다. 물 흐르듯 자연스러운 생의 끝자락에서 피운 노래 꽃은 아직 어린 우리에게 조금의 교훈과 조금의 슬픔과 조금의 삶의 비밀을 전해준다. 

 
시라면 시고, 그저 풀어놓은 말이라면 풀어놓은 말이다. 이리 마음 속 말까지 풀어놓고 가시는 길은 좀 가벼우셨을까. 아니면 아직도 마음에 묻어둔 말을 채 풀어놓지 못하고 가지고 가셨을까. 그래도 이만큼이나마 우리에게 풀어놓고 가셔서 남은 우리는 어찌나 감사한지. 좋은 곳에서 좋은 말 벗 삼아 또 한 세상 사시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