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무삭제 개정판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번에 꽂히는 경우가 아니라면 드라마를 잘 보는 편이 아니라 미실을 다룬 드라마도 보지 않았고 드라마의 흥행에 따라 베스트셀러에 올랐던 책도 읽지 않았었다. 그러다 <미실>이 무삭제 개정판으로 다시 나왔다는 소식을 우연히 접했고 뒤늦게 일어난 궁금한 마음에 읽어보게 되었다.

 

 

지금의 기준으로 본다면, 아니 내 기준으로 본다면, 미실은, 아니 그 당시의 사람들은 상당히 문란한 삶을 살았다. 색공지신(色供之臣, 세대 계승을 위해 왕이나 왕족을 색으로 섬기는 신하)이라는 말도 처음 알게 되었다. 대원신통(大元神統, 왕과 그 일족에게 색공하는 혈통으로 오도-옥진-묘도-미실로 이어짐)의 혈통으로 태어난 미실의 운명은 가히 버라이어티했다. 사랑과 권력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던 그녀는 진흥제의 눈에 들게 되고, 점차 신라 왕실 권력을 장악해갔다. 3대에 걸친 왕 진흥제, 진지제, 진평제, 그리고 동륜태자, 풍월주 사다함, 세종, 설화랑, 미생랑까지 미실은 많은 이들과 사통하여 왕실과 화랑도를 쥐락펴락하며 권력의 중심에 섰다.

 

 

미실의 캐릭터 자체도 흥미로웠지만, 미실에게 빠져 다른 것에는 관심을 돌릴 수 없었던, 오직 미실만을 가슴에 담고 미실에게만 충성과 헌신을 다했던 미실의 남자들을 지켜보는 것도 흥미로웠다. 미실은 정말 말 그대로 치명적이었다. 색공지신의 운명을 거스르지 못했던 미실의 인생이 안타깝기도 했고 많은 남자들의 사랑을 받았기에 그걸로 그녀가 그나마 위안을 삼았을까 하는 생각도 했다.

 

 

‘전통적 여성상을 뒤흔들어 우리 모두를 혼란에 빠뜨린’ 미실 이야기는 지금과 같은 성 도덕이 확립되기 전의 여성의 모습을 담고 있었다. 이미 혼인 관계를 맺은 이들도 다른 이와 사통하여 자식을 낳으며 이를 전혀 거리낌 없이 받아들이고 있었다. 김별아 작가의 손끝을 통해 세상에 나온 미실은 충격적이었다. 그녀가 다시 그려낸 역사 속 다른 여인들의 이야기도 읽어보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