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겁게 안녕 - 도시의 힘없는 영혼들에 대한 뜨거운 공감과 위로!
김현진 지음 / 다산책방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시의 힘없는 영혼들에 대한 뜨거운 공감과 위로!”라는 글귀에 홀리듯 이 책을 집어 들었다. 이 책은 저자 김현진의 회고록이자 비망록이었다. 이제 막 서른 이후의 삶에 접어든 저자가 과연 어떤 회고록을 썼으며 어떤 비망록을 쓴 건지 궁금한 마음이 생겼다. 이 책 속에는 그녀의 개인적 삶이, 그녀의 ‘서울 살이’, 아니 ‘서울에서 살아남기’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었다.

 

 

 

이미 어린 나이에 ‘남창’의 뜻을 알아버려 자신 있게 남창동에 산다는 말을 하지 못하는, 모텔이 수두룩한 곳 사이에서 밤이면 온갖 싸우는 소리와 욕설 때문에 귀를 막아가며 자야 하는, 어린 나이에 가족들과 떨어져 스스로 살길을 찾아야만 했던, 틈만 나면 하수구가 막혀 물이 역류하는 화장실의 물을 악착같이 퍼내야 하는, 심지어 옆집 화장실의 물도 퍼내주는, 스스로를 그리 똑똑하지 못한 사람이라 칭하는, 할 말 다 하고 사는 것보다는 한 발짝 물러서서-그것이 의도하지 않은 것이라도- 살아온 그런 청춘의 이야기를 읽을 수 있었다.

 

 

 

그녀의 고단하고 막막한 삶을 읽었다. 뜨거운 위로를 받은 느낌이라기보다는 내가 오히려 뜨거운 위로를 해주어야 할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가난하고 가난해서 이집 저집 옮겨 다니고, 술어 절어 살기도 하고, 도시의 고독을 맛보며 치열하게 사는 그녀의 이야기는 읽으면 읽을수록 어쩐지 마음이 무거워져갔다. 다만 그 속에서 저자가 보았던 희망과 용기 덕분에 아주 절망적이지는 않았다. 저자가 가난했기 때문에, 아니 그녀에게는 ‘덕분에’라고 해야 할까. 그래서 이주 노동자들의 모습이, 철거촌이, 윤락가 여성들이, 길고양이가, 옆집 여자를 볼 수 있었을 것이다.

 

 

 

언제나 부모님의 그늘에 가려져 있다가 최근에 와서야 세상사는 것이 그리 만만한 게 아니구나, 하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어쩌면 매일 매일이 전쟁인 삶 속에서 특히나 더 전쟁을 치렀던 저자는 희망이라는 것을 놓지 않고 꼭 품고 있었기에 지금의 그녀가 될 수 있었던 것 같다. 이 책을 다 읽은 지금은 그녀가 참 단단해 보인다. 고달픈, 고달플 세상 속에서 희망을 잃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