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투아니아 여인
이문열 지음 / 민음사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아마 뉴스였던 걸로 기억한다. 신간을 소개하는 코너에서 작가 이문열의 인터뷰를 보았다. <리투아니아 여인>이란 책을 소개하면서 음악감독이자 교수, 그리고 뮤지컬 배우로 활동하고 있는 박칼린을 모델로 하여 영감을 받아 쓴 소설이라고 했다. 그리고 책을 쓸 당시에는 그녀가 그렇게 유명하지 않았지만 텔레비전 방송 이후 점점 세간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며 그 때문에 책의 출간이 조금 부담스럽다고 언급했던 것 같다. 덧붙여 영감만 받았을 뿐, 대부분은 픽션이니 오해하지 말기를 바란다고도 했다. 예전에 예능 프로그램 “무릎팍 도사”에 그녀가 게스트로 나온 편을 보고 굉장히 인상깊었고 대단한 사람이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그 인터뷰를 보고나서 <리투아니아 여인>을 꼭 한 번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중앙일보에서 연재 중이었다는 것은 나중에서야 알았다.


이 책 속의 ‘리투아니아 여인’은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어머니와 한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뮤지컬 음악 감독이다. 한국 이름은 김혜련. 혼혈인으로서 한국에서 펼치는 그녀의 예술과 그녀의 보통적이지 않은 삶이, 그리고 그녀의 사랑이 이 책 속에 펼쳐져 있었고, 자연스럽게 박칼린을 떠올리면서 읽게 되었다.


‘나’는 동네에서 어린 김혜련을 보았다. 동네에서 자주 눈에 띄던 흔치 않은 외국인 용모는 ‘나’의 눈길을 끌었다. 기가 막힌 사투리로 친구들과 노는 모습은 아주 인상적이었다. 그러나 결국 혼혈인에 대한 편견과 따돌림을 겪어야 했고, 그 꼬마의 가족은 쉽지 않은 한국 생활을 접고 그곳을 떠났다. 그렇게 ‘나’도 그 아이를 잊어갔다. 그러다 한참이 흐른 후 나는 그녀를 다시 만나게 되었다, 오디션 장에서. 그렇게 다시금 김혜련과의 인연을 맺고 오랜 동안 지인으로, 동료로, 때로는 애틋한 감정으로 그녀를 바라본다. 다국적 정체성으로 한국에서 예술활동을 하는 그녀의 이야기는 그러나 아름답다기보다는 뭔가가 처연하게 느껴졌다. 운명 같은 사랑에 빠져 결혼하지만 정착하지 못하고 이혼한 뒤 곧바로 미국으로 떠나버린다. 그리고 또 뉴욕에서 다시 만나 한국으로 돌아와 뮤지컬을 무대에 올리기도 한다. 김혜련은 순식간에 유명해지지만 스캔들이 터지고 사람들의 언어 폭력과 마주하게 된다.


김혜련의 부모님의 삶, 리투아니아, 그리고 미국, 그리고 한국. 그녀에게는 이 땅들이 어떤 의미였을까 궁금했다. 그리고 그녀의 삶은, 그녀의 사랑은 과연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도 궁금했다. 실제의 박칼린과 겹치는 부분들이 많아선지 이미 김혜련과 박칼린을 동일시하고 책을 읽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