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100년의 기억을 찾아 일본을 걷다 - 생생한 사진으로 만나는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징용 잔혹사
이재갑 글.사진 / 살림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와 일본 사이의 역사는 잊으려야 잊을 수 없고, 그들의 과거는 용서하려야 용서할 수가 없다. 일본은 지나간 역사를 포함하여 지금까지도 과거를 인정하지 않고 용서를 구하지 않는다. 두 나라 사이의 불편하고 민감한 문제의 존재는 아마 영원히 이어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끊임없이 두 나라 사이에 분쟁이 일어나고 있는 와중에 이 책을 접하게 되었다.


이 책의 저자 이재갑은 15년간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징용 잔혹사를 기록하여 이 책에 담았다. 이 책은 크게 다섯 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장에서 다루고 있는 후쿠오카, 나가사키, 오사카, 히로시마, 오키나와 속에서 우리민족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었다. 저자는 일본 열도 곳곳을 답사하며 군부대 진지, 탄광, 광업소, 댐, 해저탄광, 지하 터널, 비행장, 통신 시설 등 조선인 강제징용 노동자들의 억울했던 삶의 흔적을 찾았고, 그 한을 사진에 담아 보여주고 있었다.


조선인들이 일본에서 억압받으며 살았던 모습을 글로 읽으며 사진을 보니 화가 나는 마음 역시 배가 되는 것 같았다. 1939년부터 1945년까지 6년간 일본에 강제 연행된 우리 동포의 수가 약 100만 명이 넘었다는 사실은 충격 그 자체였다. 일본 땅에 조선인의 피와 살과 한이 서리지 않은 곳이 없다는 것을 새로이 알았다. 이미 알고 있는 역사적 사실에 더하여 열악하고 열악한 환경 속에서 우리 민족이 겪어야 했던 그 치욕스러운 삶의 구체적인 모습을 접하니 더 가슴이 아팠고 화가 났다. 낯선 땅에서 짐승보다도 못한, 대우랄 것도 없이 마구 짓밟히기만 했던, 그리고 죽어서도 제대로 된 무덤 하나 가지지 못했던 조선인들의 삶은 가슴 아프게 독자에게 다가왔고 다스릴 수 없는 분노를 불러 일으켰다.


어떤 사과와 보상을 받아도 조선인들의 희생에 대한 분노가 사그라지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더 늦기 전에 일본이 역사적 사실에 대해 바로 인식하고 공식적으로 사과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의 일본의 모습을 지켜보면, 당분간은 현실 불가능할 것이지만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일본인들 중에도 극히 소수지만 제대로 된 사고를 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이다. 역사를 바로 볼 줄 아는 사람들이 늘어나 우리 모두의 앞에 바른 역사가 서기를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