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탈진 음지 - 조정래 장편소설
조정래 지음 / 해냄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장편으로 다시 태어난 조정래의 <황토>를 읽고 많은 것을 느꼈었다. 그리고 이번에 역시 장편으로 새로 모습을 바꾼 <비탈진 음지>를 만나게 되었다. 불과 40여 년 전의 모습이라고는 상상할 수 없는 사람 사는 이야기가 이 책 <비탈진 음지> 속에 그려져 있었다.  

 

1960년대의 산업화로 우리나라는 순간 급변을 맞았다. 농촌 인구의 도시 이동은 유행이, 아니 살기 위해 해야 하는 일이 되었다. 그렇게 도시로 상경한 농촌 사람들은 저임금 노동자가 되어 먹고 살아야 했다. 도시에 사람은 많아지고, 돈 벌 수 있는 일은 적어지면서 도시 빈민이 무더기로 양산되는 문제가 발생했고, 수많은 사람들이 도시에서 죽어나갔다. 그렇게 돈도 집도 없이 무작정 서울로 상경한 사람들 1세대의 이야기가 바로 <비탈진 음지>다. 이 책의 저자는 텔레비전 화면에서 우연히 40여 년 전 무작정 상경 1세대의 모습이 현존하고 있음을 접하고 이 책을 장편으로 개작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카알 가아씨요. 카알 가아씨요.” 복천(福千) 영감의 목청 뽑는 소리로 이야기는 시작하고 있었다. 그의 이름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게 복천 영감의 삶에 ‘복’이라는 것은 애초에 배당이 되지 않은 것 같았다. 서울에서 칼을 갈며 그러나 서울 냄새를, 서울에서 사는 것을 극도로 싫어하는 복천 영감의 사연이 실타래를 풀어가듯 술술 펼쳐져 있었다. 가혹한 운명 앞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던 복천 영감은 결국 일찍 아내를 보내고 그나마 있는 재산도 잃어갔다. 이대로는 안 되겠다 싶어 살 길을 찾아 훔친 소를 팔고, 삶의 터전을 버리고 두 자녀와 함께 서울로 야반도주를 했다. 그리고 도착한 서울. 도착하자마자 고향 사람을 만나 많은 도움을 받기도 했지만 그것도 잠시뿐, 서울의 냉혹함과 가혹함에 치를 떨게 된다. 목이 말라 당장 죽을 것 같아도 돈이 없으면 물 한 모금 먹을 수가 없는, 무조건 돈이 최고인 세상, 돈이 없으면 사람이 죽어가는 세상, 그곳이 바로 서울의 모습이었다. 일을 하려고 해도 어디 쉬운 일이 없었고, 입에 풀칠이라도 하기 위해 선택한 것이 칼을 갈아주는 일이었다.  

 

복천 영감의 삶 속에 등장했던 떡장수 아줌마, 술집 아가씨가 된 식모, 복권 파는 소녀, 두 자녀, 그리고 복천 영감에게 해를 입히는 많은 사람들이 등장한다. 서울 밑바닥을 기면서도 서울을 떠나지 못하고 살아야했던 그 시대의 많은 사람들 이야기가 복천 영감의 삶에 둘러싸여 있었다. 가난을 떨쳐버리려고 아무리 발버둥을 쳐도 가혹한 운명은 복천 영감을 피해가려 하지 않았다. 오히려 조금 살만하면 한 번씩 시련을 안겨주며 잠시도 쉴 틈을 주지 않는다. 

 

1970년대의 그분들이 있었기에, 살고자 악착같이 살아주었기에 지금 우리가 이렇게 부족함 없이 살 수 있는 게 아닌가 싶다. 40년이라는 시간은 서울의 모습을, 아니 세상의 모습을 전혀 다른 모습으로 바꾸었다. 지금 서울 상경 1세대들은 그 때의 일을 추억으로 회상할 수도 있고 절대 떠올리고 싶지 않은 기억으로 남겨두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잘 사는 사람들은 감히 넘어다 볼 수 없을 만큼 높은 담벼락 안에서 보호 받으며 살고 있고, 못 사는 사람들은 오늘도 쉴 곳, 잘 곳을 찾지 못해 헤매고 어딘가를 배회하고 있을 것이다. 살기 위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