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주변의 싸이코들 - 성격장애 완전 분석
두에인 L. 도버트 지음, 이윤혜 옮김 / 황소걸음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수많은 사람들의 틈에 끼어 살아간다. 셀 수 없는 그 숫자 속에는 분명 보통이라고 칭할 수 없는 부류의 사람들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특이하고 개성이 있다는 말로는 설명이 부족하고, 기분 나쁜 사람들. 싸이코가 많아지고 있다. 사이코는, ‘정신 장애인’을 낮잡아 이르는 말로 우리는 흔히 그들을 ‘싸이코(싸이코는 외래어 표기법상 ‘사이코’라고 적어야 하지만, 느낌이 살지 않는다)‘라 부른다. 사이코(싸이코)는 ‘한 분야에 집착하여 평범한 생활을 하지 않는 사람’, ‘정신질환을 소유하고 있는 인간’이라고 정의되는 단어이다. 평소 인식하고 있는 뜻보다 훨씬 미화된 정의가 아닌가 싶었다. 하루가 멀다 하고 상상하지도 못할 범죄가 곳곳에서 일어난다, 싸이코들에 의해서. 그런데 요즘은 싸이코란 단어를 사용하는 빈도가 점점 더 높아지는 것 같다. 굉장히 보편적인 단어가 되어버린 것이다.


여러분은 이 책을 읽으며 성격장애의 진단 기준에서 친한 사람, 가족과 친구, 아는 사람의 모습을 발견할 것이다. 알면 통제할 수 있다. 지켜보고 평가하면 알 수 있다. 라는 책의 뒷표지에 실린 저자 두에인 L. 도버트의 에필로그를 읽으며, 잠시 당황했다. 그러고 보니, 주위를 둘러보면 적어도 한 명쯤은 문제가 있어 보이는 사람이 있다. 저자의 프롤로그를 읽으며 혹시 나도 성격장애의 분류 중 하나에 속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고, 불안해지기 시작했다.


저자는 말하고 있었다. 성격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공공장소에서 특이하게 보이지는 않으나 위험할 수 있다고. 왜냐하면 그들은 언제나 피해자를 만들기 때문이다. 피해자는 신체적, 정신적, 감정적 손실을 보게 되며, 그것은 성격장애가 있는 사람의 필요를 죄책감 없이 채워주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이 책을 만들어 사람들이 읽도록 하였다. 시나리오를 통해 성격장애의 특징과 행동을 ‘쉽고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었고, 그에 따라 저자는 성격정애를 의학 용어가 아닌 언어로 설명하였다고 말했다. 우리가 피해자가 되지 않고 자신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리가 이 책을 통해 경각심을 갖고 성격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피하거나 제한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저자는 이 책에 성격장애를 분석해놓았다.


이 책에는 총 열한 가지의 성격장애의 유형이 실려 있다. 열한 가지 유형을 세 타입으로 나누어 별나거나 이상한 성격, 감정적이거나 변덕스러운 성격, 걱정하거나 두려워하는 성격으로 정해두었다. 그리고 첫 번째 성격 아래에 편집성 성격장애, 분열성 성격장애, 분열형 성격장애를 두었고, 두 번째 성격 아래에 행동장애, 반사회성 성격장애, 경계성 성격장애, 히스테리성(연극성) 성격장애, 자기애성 성격장애를 두었다. 마지막 성격 아래에는 회피성 성격장애, 의존성 성격장애, 강박성 성격장애를 두었다. 각각의 성격장애를 설명하기에 앞서 시나리오로 예를 들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하고, 그 성격장애의 특징과 진단 기준을 밝혔다. 진단 기준을 충족하면 성격장애임을 의심해야 한다. 그리고 그 성격장애에 대한 주의 사항을 알려주고, 징후의 원인과 경과의 방향을 보여주며, 그들을 대하는 법을 제시했다.


다행히 책을 읽기 전의 불안했던 마음은 현실화되지 않았고, 내 주변에는 여기에서 분류하고 있는 싸이코에 해당하는 사람이 없는 것 같았다. 저자의 말처럼 어렵게 느낄 수 있는 성격장애에 대한 용어들을 시나리오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어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다만 이해를 돕기 위한 시나리오가 너무 극적이라 조금 당황스러웠고, 구체적인 분류에 비해 대처법이 좀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여러 유형을 살펴보고 알아볼 수 있는 시간이라 유익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