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는 모른다
정이현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에 태어난, 그리고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가족’이라는 생활 공동체 안에 존재한다. 그리고 그 수를 헤아릴 수도 없는 가족 공동체들은 저마다 자기들만의 색깔을 지니고 있다. 여러 매체를 통해서 우리가 인식하는 다양한 가족의 모습처럼, 어떤 가족은 상냥한 사랑과 배려 등으로 똘똘 뭉쳐 있는가 하면, 또 어떤 가족은 애증이 가득하다고 할 수 있는 모습을 띄기도 하고, 아예 서로에게 무관심한 모습도 볼 수 있다. 그래도 보통은 서로를 향한 사랑과 관심, 배려와 헌신이 ‘가족’이란 것을 유지하게 해주는 원동력이 된다. 그런데 여기, 조금은 보통에서 벗어난 가족이 있었다. <너는 모른다>의 저자 정이현이 책 속에 그려낸 가족은 그 구성원에서부터 조금의 차이를 빚어내었다.

 

장기 밀매라는 불법적인 일에 몸을 담고 그것으로 가족들이 부족함 없이 살게 하는 그 집안의 가장 김상호, 화교인 새 아내 진옥영과 그들의 딸 김유지, 그리고 김상호가 진옥영과 재혼하기 전 부인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김혜성과 딸 김은성. 아마 이 가족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라면, 그들을 화목하고 부유한 집안이라고 여기고 어쩌면 동경하는 마음까지 가졌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다행인지는 모르겠지만, 독자는 알 수 있었다. 가족 구성원 사이사이에 존재하는 균열이 그들을 너무나도 위태롭게 해 마음을 조마조마하게 만들고 있다는 것을 말이다. 혜성과 은성은 어쩌면 당연하겠지만, 아버지란 사람과 사이가 좋지 않았고, 특히 내지르는 성격을 지닌 은성은 견디지 못하고 밖의 원룸에서 생활하고 있었다. 그렇게 다섯, 실은 넷이서 방배동 서래마을의 한 빌라를 공유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집은 몹시도 조용하다. 종종 감정을 제멋대로 분출해대는 김상호를 제외하면, 옥영도, 혜성도, 그리고 까마득하게 어린 유지마저도 감정을 밖으로 내비치지 않는다, 절대. 하지만 정작 그들의 가슴 속에는 엉킬 대로 얽히고설킨 무언가가 그들을 갉아대고 있었다. 모두들 나름대로의 상처를 품고 있었다. 발신목록엔 전화번호가 가득하지만 정작 착신목록에서는 어떤 전화번호도 찾아볼 수 없는 은성의 애처롭기까지 한 휴대폰을 들여다보면서, 남몰래 길거리 자동차 타이어에 불을 붙여야 한다는 욕망을 느끼는 혜성을 보면서, 어린 나이에 스스로 모든 친구들을 왕따시키고 혼자만의 세계를 만들어 살고 있는 유지를 보면서 공유할 수 없는 외로움이란 이런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들 사이에서 대화다운 대화는 찾아볼 수 없었다. 그 집 안에서 오히려 ‘말’이라는 것은 ‘존재해서는 안 될 것’처럼 보였다. 차라리 타인이라도, 이보다 더 적막감을 주지는 못할 것 같았다.

 

균열은 어느 순간 폭발해버리고 말았다. 단 한 번도 말썽은커녕 걱정스러울 만한 일을 일으켜본 적이 없는 유지의 ‘증발’이 조용하기만 한 그 집에 ‘소리’라는 것을 가져다주었다. 가족 구성원 중 하나의 실종은, 남아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큰 상실감을 안겨 주었다. 아니 그것은, 상실감이라는 단어 하나로 표현될 수 있는 종류의 것이 아니었다. 말로 다할 수 없는 슬픔과 괴로움, 몸이 찢어지는 듯한 아픔 등. 그들은 보이지 않는, 그러나 이루 말할 수 없는 고문을 받아야만 했다. 서로에게 철저하게 무관심으로 일관했던 그들은 이제, 유지를 찾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가출을 한 것인지, 납치를 당한 것인지조차 알 수 없는 유지의 행방을 찾느라 모두가 혈안이 되어 있었다. 진실을 향해 나아가기까지가 특히 더 힘들게 느껴졌던 것은, 저자의 펜이 이쪽으로 가는가 하면 또 저쪽으로 가는 등, 도저히 방향을 잡지 못하게 하는 것 때문이었다. 이제 다 왔다 싶으면, 갑자기 출발선에 돌아와 있는 듯한 막막한 느낌이었다. 그래서 결말에 다다랐을 때는 오히려 허무하고 힘이 빠지고 그랬는지도 모르겠다.

 

유지의 사라짐으로 인해, 온 가족은 자신도 모르게 자신 안에 존재하던 서로를 향한 ‘사랑과 이해’라는 것을 끄집어내었다. 혼자서 열심히 유지를 찾는 전단지를 만드는 혜성을 보면서, 어쩌면 자기 때문일 것이라 자책하는 은성을 보면서, 유지를 찾기 위해 미친 듯 장기밀매를 해야 했던 김상호를 보면서 더욱 안타깝고 슬퍼지는 것 같았다. 그리고 이제 그들은 서로를 이해하는 방법을 찾아내었다, 그것이 아직은 조금 서툴지라도. 하나로 묶일 수 없다고 여기던 사람들이 이제는 서로를 향해 손을 내미는 모습을 보면서, 그들이 스스로를 바꾸어가는 과정을 보면서 가족이라는 건, 결국엔 이렇게 되어야 하고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다. 비록 그것이 한 사람의 부재 때문이라 해도 말이다. 결국 ‘너는 모른다’며 서로를 있는 대로 밀어댔던 그들이, 실은 ‘나를 알아달라’며 투정을 부리는 것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누가 뭐라 해도 결단코 바뀌지 않는 것을 진실이라고 부를까?

알 수 없었다.

세상은 진실의 외피를 둘러쓴 악의로 가득 차 있다는 것,

타인을 겨냥한 악의는

어쩌면 입구를 단단히 동여맨 풍선 같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