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대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9
윌리엄 골딩 지음, 유종호 옮김 / 민음사 / 200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작을 너무나 늦게 만나 안타까운 마음이 가득이다.

  <파리대왕>이라는 제목부터가 참 독특하다. 이 책은 ‘상징소설’답게 작은 것 하나하나가 각각 상징하는 것들을 무수히 많이 담고 있다.




  정신을 차리고 보니, 이곳은 웬 무인도 같다. 비행 사고로 아무도 살지 않는 섬에 내던져진 십대 초반의 어린 소년들. 때 묻지 않은 영혼을 갖고 있는 아이들은 처음에는 무작정 좋았다. 어른들로부터 벗어나 뭐든지 맘껏 할 수 있는 신나는 세상을 만났으니까. 공부하지 않아도 되고, 먹고 싶은 것은 나무에서 따먹으면 그만이다. 이런 게 바로 천국?




  그렇게 무인도에 불시착한 아이들은 처음에는 우왕좌왕 정신없이, 그러면서도 마음대로인 생활을 하다가 문득 ‘대장’의 필요성을 느낀다. 처음 소라를 불어 뿔뿔이 흩어져 있던 아이들을 끌어 모았던 랠프가 다수결의 원칙에 따라 대장이 된다. 그렇게 아이들만의 작은 하나의 민주사회가 형성되었다. 랠프는 무엇보다도 구조를 간절히 원했다. 지금의 상황에서 구조 받을 수 있는 방법은 불을 피워 지나가는 배나 비행기가 자신들을 발견해주는 일. 따라서 아이들은 랠프의 지휘아래, 장작을 모아다 불을 피운다. 그러나 어느 사회에나 부적응자는 있기 마련이다. 그리고 대장의 반대쪽에 의견을 두는 이들도 존재한다. <파리대왕>에서 랠프에 맞서는 아이가 바로 잭이다. 그는 모든 것을 힘으로 제압하려 하고 생각하기보다는, 이성적인 판단을 하기보다는, 마음 가는대로 하고자 하는 행동파이다. 그런 잭의 눈에 랠프는 그저 답답한, 말만 잘하지 행동으로는 옮기지 못하는 아이로만 여겨진다. 아이들의 뇌를 잠식해가는 공포와 불안감이 점점 이들의 불화를 촉진시켰다.




  이렇게 패가 갈리기 시작하면서 무인도의 아이들은 극으로 치닫는다. 이성과 생각을 중시하는 랠프 편과 사냥을 즐기는 잭 편, 둘로 나뉘어 이들은 극도로 갈등을 빚어낸다. 누가 이들을 선하고 착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이들은 더 이상 아이들이 아니었다. 환경과 상황이 이들을 이렇게 만든 것일까? 이제 잭과 아이들은 저자에 의해 ‘야만인’으로 명명된다. 야만인이라는 표현이 정말 잘 어울릴 만큼 이들은 원시적이고 야만적인 행동을 일삼는다. 잭은 독재자로 군림하여 양쪽을 날카롭게 깎은 창을 만들어내고 자기에게 반하는 ‘것’들은 모조리 찌른다.




  ‘야만인’들이 멧돼지를 잡는 과정이 묘사된 부분에서는 정말 입을 다물 수 없었다. 끔찍하고 야만적인 이들의 모습은 상상조차 불가능했다. 사냥에 그야말로 목숨을 거는 잭을 보면서 치가 떨림을 느꼈다. 왜 이런 야만성을 띄게 되었을까? 이들이 섬에 불시착하지 않았어도 그랬을까?




  처음엔 그저 <톰 소여의 모험>과 같은 재미있는 이야기일거라는 생각만으로 이 책을 읽기 시작했었다. 그리고 저자는 어느 정도까지는 내 기대에 맞추어 주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아이들이 변해가는 모습에 점점 마음이 무거워졌고,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단순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역시 노벨상은 괜히 존재하는 것이 아니었다. 저자가 책 속에 삽입한 수많은 요소들이 나타내고자 하는 것을 생각해보았을 때, 이는 더 분명해진다. 이성적임과 비성적임, 환경이 주는 영향, 악과 본성의 진실한 내면적 모습 등이 이 책 속의 아이들을 통해 드러나고 있었다. 참으로 묘한 느낌을 받은 책 한 권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