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게 다 우울한 밤에
나카무라 후미노리 지음, 양윤옥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이 책에서 우울의 끝을 본 것 같다. 괴이한 트라우마와 흐릿한 기억, 정체모를 욕구와 욕망, 이따금 미친 듯이 찾아오는 불안과 공포, 불현듯 솟구치는 무엇을 향하는 건지도 모를 분노와 화. 바로 <모든 게 다 우울한 밤에>의 주인공 ‘나’가 갖고 있는 우울함을 이끌어내는 것들이다. 죽은 여자와 한 남자, 그리고 어린 나의 모습, 바로 이 기억은 정말 음산하게 ‘나’의 머릿속을 잠식해 들어갔다.




  ‘나’의 직업은 교도관이다. 상관에게 일을 잘한다고 칭찬을 듣고 인정받는 교도관 말이다. ‘나’는 어린 시절 고아원 문 앞에 버려졌었고, 그 후로도 한 번 더 버려짐이라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그곳에서 한 때의 연인 게이코를 만났고,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친구 마시타를 만났다. 마시타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는 물에 뛰어들어 자살을 했기 때문이다. 여러 면에서 마시타는 ‘나’와 비슷했다. 자꾸만 마시타가 ‘나’에게 그런 사실을 주장해서 어쩌면 그도 모르게 그렇게 생각하게 된 건지도 모른다.




  속은 온통 혼란으로 뒤덮인 채 겉으로는 지극히 평온한 모습을 하고 있는 ‘나’는 착실한 교도원으로 살아가고 있다. 어느 날 소년이라는 단어가 더 어울릴법한 사형수가 들어온다. 거센 여론으로 인해 사형을 선고받은 야마이, 상관과의 사형제도에 대한 대화를 하면서 ‘나’는 생각에 잠긴다. 야마이를 보면서 ‘나’는 그가 동생 같고 이미 잃어버린 마시타 같고 어떤 면에서는 자신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도 같은 고아였기에.




  ‘나’는 줄곧 고아원 원장님을 떠올린다. 너무 뛰어다니는 바람에 새로 받은 지 얼마 안 된 운동화가 헤져도 화를 내지 않으시던 원장님. 그러면서 어느 누구도 가르쳐주지 않았던 인생에 대해서 모든 것에 가까울 만큼 많은 것을 알려주신 원장님이었다. 하마터면 자신도 야마이와 같은 길을 걸을 수도 있었다. 그러나 ‘내’가 태어난 사실 자체가 기적이라고 말씀하시면서 세상에는 너무나도 아름다운 것들, 좋은 것들이 많음을 보여주신 원장님이 있었기에 지금의 그로, 적어도 겉으로는 반듯한 그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제는 자신도 야마이에게 그런 인생의 선배가 되고자 한다. 자신에 대해 아무런 가치도 느끼지 못하는, 버러지만도 못한, 어떤 존재하는 것쯤으로 스스로를 정의내리는 야마이의 마음에 조금은 온기가 피어날 수 있도록 만들어주기 위해 ‘나’는 적극적으로 야마이에게 다가간다. 그러고서 얼마 후 야마이로부터 받은 한 통의 편지가 내 마음까지 적셨다.




  “나에게는 형제가 없지만 당신이 형이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건 내 생각만 하는 말입니다.”




  조금은 극적이기도 하고, 조금은 무시무시하기도 한 이야기들이 너무나도 차분하고 차분하게 그려진다. 그래서인지 더 음산하고 우울한 느낌을 주는 이야기였다. 모두가 다 괴물처럼만 여겨졌다. 모든 사람들에게는 살아야 할 이유가 있고 살아야 할 목적이 있다. 세상에는 처음부터 착한 사람도, 처음부터 나쁜 사람도 없다. 모두가 다 소중한 존재이고 모두에게는 존재 가치가 있는 것이다. 그런 점들을 이 책은 너무나 우울하게 소리치는 것 같아서 정말 우울한 마음으로 책의 마지막 장을 덮었다.










       그래도 너하고 나는, 뭐랄까.

       언제나 한 편이 되어주기로 하는 건 어때?

       그 때 화가 나 있더라도. 전혀 만나지 않더라도.

       이를테면 둘 중 누군가가 저지른 일이 마음에 들지 않고

       용서할 수 없어도 끝까지 한 편이 되어주기로 한다면...

       누군가 그런 사람이 있다고 생각하면 살아가기가 쉽거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