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이화
조두진 지음 / 예담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슴을 울리는 소설이다. 아프게.

  조두진의 <능소화>를 읽어본 사람이라면, 아마 조금의 망설임 없이 이 책을 고를 것이다. 이 책 <유이화>는 이진영이라는 실제 인물을 모티브로 삼아 만들어진 소설이다. 전작을 통해서도 느낄 수 있듯이, 저자는 크고 공식적인 역사 속에서 작은 인물들의 삶을 그려내는 데 정말 탁월한 작가이다. 유명한 위인들로 이루어진 역사가 아니라 평범한 서민들의 삶과 사랑을 바탕으로 한 역사 말이다. 그는 사건보다는 사람이 중심이 된 역사이야기를 그려보고자 했고, 이는 독자의 공감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그러고는 마치 바로 옆에서 그들을 지켜보는 것 같이 묘사를 해주어 독자 역시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게 만들어준다.




  사랑하는 아이를 자기 손으로 묻어주어야 하는 한이 서린 어머니의 마음. 그리고 전쟁이라는 비극적인 상황 때문에 남편과 생이별해야할 수밖에 없는 아내의 마음이 한 여인 유이화를 통해 드러난다. 전쟁 속에 놓인 가족의 안타까운 사랑과, 그리고 임진왜란의 포로가 되어 적국으로 끌려간 수많은 사람들의 생활을 오롯이 느낄 수 있는 책이었다. 아마 이 책을 그냥 담담하게 읽을 수 있을 독자는 몇 없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만큼 가슴이 매이고 안타까운 이야기였다.




  아픈 아이를 위해 의원을 찾던 유이화의 남편 안철영은 봉건적이고 유교사상이 몸에 밴 남자였다. 결국 그는 의원을 찾지 못하고 왜군이 쳐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진주성으로 향한다. 그러나 가족을 사랑하는 마음 역시 남 못지않았기에, 아내를 그리고 아이를 그리워한다. 그리고 끌려갔을지 모를 아내를 찾기 위해 일본으로 향한다. 포기하지 않고 끈질기게 아내를 찾아 헤맨 덕에 안철영은 아내를 만난다.

  한편, 유이화는 남편이 들은 바대로 일본 농노로 배정되어 살고 있었고, 치욕적인 상황에서 자신을 구해준 히로시와 결혼하여 아시타라는 이름으로 두 아이를 낳는다. 안철영이 아내에게 이제 돌아가자고 말하자, 유이화는, 아니 아시타는 말한다. 나는 어느 나라 사람도 아니라고. 이 두 아이의 어미일 뿐이라고. 날 데려갈 거라면 우리 모두를 죽이라고. 그러면서 돌아갈 것을 거절한다.




  한 나라와 임금을 위해 자신을 희생했건만, 아내 유이화는 스스로를 이제는 아시타라 말하며 자신을 거부한다. 그런 아내를 보면서, 안철영은 자신이 지금까지 무엇을 위해 달려왔는지에 대해 회의를 느낀다. 국가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가족을 외면하다시피 했던 과거에 대한 아쉬움, 미련, 후회, 죄책감 등이 한꺼번에 그를 향해 밀려들었다. 그렇다. 아시타가 되기 전 이화는 남편 없이 혼자 아픈 아이를 감당해내야 했고, 죽은 아이를 혼자 묻어야 했으며, 적국으로 끌려가는 순간에마저 혼자였다. 그 어떤 위기에도 남편은 있어주질 못했다. 얼마나 무서웠을까, 얼마나 괴로웠을까, 그리고 얼마나 원망스러웠을까. 바로 대의라는 이름 때문에. 그런 것들이 이제는 고개를 돌려 철영을 괴롭혔다.




  우리의 역사에 한 획을 긋는 사건 못지않게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들이 있음을 저자는 안철영과 유이화의 이야기를 통해서 보여주었다. 위의 고급 관료들과는 달랐던 그들의 삶. 인간적인 고뇌. 전쟁이 끝나 세상은 이전으로 돌아가고 있음에도 철영 자신은 결코 끝나지 않을 세상의 끝에 서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다시 돌아갈 곳은 없다. 그렇게 우리 조상들의 이야기, 전쟁의 틈에서 살다 간 우리 민족의 이야기는 끝을 맺고 또 어딘가에서 다시 시작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