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 전 영화로도 만들어져 개봉되기도 했다. 몇 번의 경험에서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가 책만큼의 마음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하기도 했지만, <눈먼 자들의 도시>의 영화 역시 내게는 책만큼의 강렬함을 주지 못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주제 사라마구는 이 책 <눈먼 자들의 도시>를 통해서 한 도시 전체에 ‘실명’이라는 전염병을 터트리는 설정을 한다. ‘눈이 멀었다.’는 표현이 얼마나 많이 나오는지, 읽다가 한 번 세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 속에서 ‘눈이 먼’ 사람들은 전염의 가속을 막기 위한 정부의 정책에 의해 수용소로 격리된다. 그리고 그 수용소 안에서 새롭게 하나의 공동체가 탄생하게 된다. ‘작은 세상’이라고 부를 수 있을 만한. 작은 세상에 처음에는 정이 넘친다. 서로 같은 처지에 처해 있다는 공통점에 공감하고 고통을 나누고 의지하며 돕는다. 그러나 곧 작은 세상 안에서 각자의 이익을 챙기는 사람들이 생겨나고, 그들을 인간 취급하지 않으며 총격을 가하는 군인들이 생겨나고, 범죄 집단이 생겨난다. 그러면서 점점 그들은 도덕적으로 부패해간다. 읽으면서도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 정도로 그들은 그들의 치부를 내보인다. 그들의 공동체는 점차 인간다움을 잃어갔다. 아마 모든 사람이 눈멀지 않았다면 수치심에 몸 둘 바를 몰랐을 것이다. 그러나 모두가 수치스러운 행동을 함께 한다면, 거기에다 서로를 볼 수 없다면 확실히 전보다는 거리낄 게 없었을 것이다.

  이 책 속의 등장인물들에는 이름이 부여되지 않았다. 안과 의사, 안과 의사의 아내 식으로만 묘사가 될 뿐이다. 여기에서 모든 사람이 세상의 빛을 잃고 흰 세상만을 바라보게 되었을 때 안과 의사의 아내만 유일하게 눈을 뜬 사람이 된다. 그리고 그녀만이 눈먼 자들의 세상을 온전히 바라보고 그들의 추락을 볼 수 있다. 그런 그녀가 우리에게 그들의 모습을 전달해준다. 모두가 눈멀어가면서 자신만이 모든 것을, 그리고 진실을 바라볼 수 있었기 때문에 그녀는 위의 눈먼 자들보다 더 이기적으로 행동할 수도 있었다. 자신만을 위해 살고 마음대로 행동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녀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자신만의 이익을 취하려 하지 않고, 모든 눈먼 자들을 도왔다. 그럼으로써 그녀는 타락으로부터 벗어난다.

 

  우리고 가지고 있는 것을 잃었을 때 우리는 비로소 우리에게 소중했던 것이 무엇인지를 깨닫게 된다. 그 때에야 우리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말을 뼈저리게 느낄 수 있다. 주제 사라마구는 이런 상황을 책 속에 설정해 우리에게 간접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 놓고, 우리로 하여금 우리가 갖고 있는 본성을 끄집어낸다. 우리의 일상을 당연하게만 느끼지 말고 좀 더 신경을 쓰고 소중히 하라는, 그리고 우리의 삶의 본질을 잃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해주는 것 같다.

  우리가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는 말. ‘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이라는 말이 가슴 한 편에 남는다.



         우리가 어떤 행동을 하기 전에

       먼저 그 결과를 생각해 본다면,

       곧 즉각적인 결과, 확률이 높은 결과,

       가능한 결과, 상상할 수 있는 결과를

       차례대로 진지하게 생각해 본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