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년 1반 34번 - 종잡을 수 없는 사춘기 아이들의 마음을 잡아주는 이야기
언줘 지음, 김하나 옮김 / 명진출판사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한 아이, 34번의 이야기이다. <1학년 1반 34번>의 저자 언줘는 자신의 사춘기 시절에 대한 기억을 바탕으로 아이의 마음을 그려나갔다. 따뜻한 느낌을 주는 그림과 함께 한 편의 동화로 말이다. 아이들이 가족과 집이라는 공간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접하는 곳이 유치원 혹은 학교일 것이다. 처음 맞서게 된 그곳에서 아이들은 두려움을 느끼기도 하고 정체성에 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아이들은 순수하고 여린 마음을 가지고 있기에, 그래서 흔들리기도 쉽고 깨지기도 쉽다. 이 책은 아침잠이 많은 한 아이가 학교에 들어가 34번이 되는 순간부터의 생활을 보여주고 있다. 이 책에는 그리 많은 글자들이 인쇄되어 있지 않다. 그 대신 삽입되어 있는 그림이 글보다 더 효과적으로 34번의 답답한 마음을 표현해주고 있었다.




  34번은 학교에 그다지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 자신을 향한 기대치가 점점 높아질수록 34번 아이는 부담을 느낄 뿐이었다. 어른들은 아이들이 모범생이 되기를 원한다. 모범 답안을 제시해 놓고 그대로만 따르기를 원한다. ‘이것은 옳고 저것은 그르다.’라는 것만 제시할 뿐, 왜 옳고 왜 그른지는 설명해주지 않는다. 그럴수록 34번은 점점 회의를 느낀다. 빨리 어른이 되어 자유로워지고 싶지만, 한편으로는 어른이 싫다. 그리고 그런 생각들은 34번이 점점 자신을 싫어하는 방향으로 흘러간다. 그러나 정작 어른들은 그런 34번의 마음을 몰라준다.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주지 않는, 그리고 알려고 하지 않는 어른들이 34번은 원망스러울 뿐이다. 그런 상황의 반복은 34번을 보이지 않는 감옥에 가두어두기 시작했다.

 

  34번 아이는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묻는다. ‘어른이 되면 자유로워질까?’, ‘어른이 되면 행복해질까?’, ‘왜 그냥 행복해질 수는 없을까?’, ‘사랑을 하면 왜 모두 기대를 하는 걸까?’, ‘그냥 사랑만 하면 안 되는 걸까?’

  그러나 34번은 잘 알고 있다. 어른들은 모두 자신을 너무나 많이 사랑한다는 것을 말이다. 그리고 우리도 그 사실을 알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의 문제는 그들의 사랑은 너무나도 일방적이라는 것이다. 적어도 그 사이에 소통이라는 것이 있었다면 34번이 그렇게까지 외로워하고 혼란스러워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은 책 밖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저자는 말한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기쁨과 슬픔이, 행복과 불행이, 자유와 구속이 어느 순간에서든지 항상 함께 존재한다고 말이다. 그리고 바로 그 사실을 아이들이 잘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고도 말한다. 한쪽의 것만 존재한다고 생각하지 않도록 어른들이 아이들을 이끌어주어야 하는 것이다. 그럴 수 있는 사람이 비로소 진정한 어른이라고 언줘는 말하고 있다.




  내 기억 속에 존재하는 아주 어린 시절, 나는 학교에 대해 34번만큼의 큰 반감은 없었다. 그런데 바로 그 사실에 지금 조금은 부끄러워지는 것도 같다. 그 때 그 시절의 내가 어떤 생각을 갖고 있었는지까지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어른들과 분명히 조금은 달랐을 내 생각을 부정하고 어른들의 생각에 맞추고, 어른들의 기대치만큼의 길을 걸었다는 뜻이 되기도 하니까 말이다. 어제 읽은 <꼴찌들이 떴다>와 함께 사춘기 시절을 그리고 어린 시절을 생각해보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세상 사람들 중에는

       남들이 본받아야 할 표본이 있다.

       학교에서는 이런 사람을

       모범생이라고 부른다.

       모든 어른들은

       자신의 아이가 그 중 하나가 되길 바란다.

       설령 그 표본은 못 되더라도

       평균은 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