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방 우편기 현대문화센터 세계명작시리즈 19
생 텍쥐페리 지음, 배영란 옮김 / 현대문화센터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랗고 푸르른 표지에서부터 눈길을 사로잡는다. 표지의 그림뿐만 아니라, 책 속에 그려진 삽화들도 아름다우면서 뭔가 몽환적인 느낌을 가득 주었다.




  생텍쥐페리하면 일단은 <어린 왕자>의 작가로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 누구나 어렸을 때 한 번 쯤은 <어린 왕자>를 읽어보았을 만큼, <어린 왕자>는 아름다운 동화로 유명하다. 나도 이 책을 얼마나 읽었는지 모른다. 생텍쥐페리에 대해서는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딱 그만큼만 알고 있었는데, 우연히 생텍쥐페리의 일생에 관한 책을 읽고 그에 대해 좀 더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이번에 읽게 된 <남방 우편기>는 생텍쥐페리의 처녀작이었기 때문에 그 어떤 책을 읽는 것보다 더욱 설레고 궁금했던 것 같다. 생텍쥐페리는 정기 항공기편의 조종사로서 우편 비행을 담당했었다. 그런 그의 직업 덕분에 그의 소설에는 비행과 관련된 이야기가 많이 있다. 이 책 역시 그의 비행 이야기라고 할 수 있고, 따라서 비행에 관한 철학적인 이야기들도 종종 등장하고 있었다. 자꾸만 수필 같은 소설이라는 생각이 든 것은 아마 이 때문인 것 같다.




  이 책은 우편기 조종사인 ‘자크 베르니스’와 그의 첫사랑 ‘주느비에브’의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다. 자크 베르니스가 사랑하는 여인을 위해 무언가를 하려고 애쓰는 모습은 너무나 안타깝게 느껴지기도 했고 거기에서 애절함까지 풍겨 나왔다. 그것은 주느비에브에게 사랑하지 않는 남편이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녀의 아픔 때문인지도 모른다. 참 아이러니인 것 같다. 수많은 연인들의 사랑하는 마음을 배달하는 그가 정작 자기 자신은 사랑 때문에 괴로워하고 있으니 말이다. 혼자라는 고독함 속에서 베르니스는 이제는 과거가 되어버린 그녀를 끊임없이 추억하고, 되새기며 끌어안는다. 그런 그의 모습에서 고독과 외로움이 더욱 크게 느껴졌고, 그 마음은 나를 생텍쥐페리에게까지 이어 주었다. 그리고 생텍쥐페리가 말했던 ‘관계’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다. 이 책을 읽는 동안 생텍쥐페리의 다른 어떤 작품들보다도 <어린 왕자>가 강렬하게 떠올랐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남방 우편기> 때문에 약간의 곤혹을 치렀었다. 어떤 이해나 감동도 받지 못하고서 줄줄 쓰여 있는 글씨만을 읽어나가기도 했었던 것 같다.

  생텍쥐페리만의 감성 언어와 아름다운 언어는 이 책에서도 역시 빛을 발했다. 그의 은유는 때로는 책을 읽다말고 한동안 헤매게 만들만큼 어렵게 느껴지기도 했고, 아예 엉뚱한 의미로 받아들이기도 했다. 그것이 번역 때문인지 제대로 이해를 못하고 있는 나 때문인지조차도 모르게 만들었다. 그리고 그가 사물을 바라보는 시각이 남다르다는 점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다. 다음 번에 또 기회가 된다면 그의 아름다운 비행 속에 빠져보고 싶다. 













      “내 생각에 삶이란 말이지.. 뭔가 다른 것에 의지하고 있는 것 같아.

      이런저런 습관, 관습, 법칙 등.

      자네가 그 필요성도 인정하지 못하고 벗어나버린 그 모든 것들이

      바로 삶에 있어 하나의 틀이 되는 거야.

      존재하고 있으려면 자기 주변에 감내해야 할 현실이 필요한 법이라네.

      하지만 황당하건 부당하건 이 모든 게 그저 하나의 말에 불과하지.

      주느비에브는 말일세. 자네가 그녀를 데려오면

      주느비에브 자신에게서 그녀가 벗어나버리는 결과를 낳게 되네.”










      하늘에서 내려다 본 대지는 아무것도 걸치지 않은 알몸처럼 보이며,

      생기 없이 죽어 있는 것 같은 모습이다.

      그러나 비행기가 하강하면서 비로소 대지는 다시 옷을 입는다.

      나무는 다시금 대지의 속을 채워 넣고,

      언덕과 골짜기는 대지에 넘실거림을 만들어준다.

      그렇게 대지는 다시 숨을 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