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의 숲에서 사랑을 만나다 - 신화 속에 감추어진 기이한 사랑의 이야기들
최복현 지음 / 이른아침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스, 로마 신화부터 독일의 북유럽 신화까지, 모든 신화는 정말 흥미롭다. 이 책에서 다룬 것과 같이 그리스 신화만을 두고 얘기한다면, 신은 전지전능하다. 뭐든 할 수 있고 죽지도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신을 ‘신’이라 부를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신과 인간 사이에 공통점이 있다면 ‘감정’이란 게 바로 그것이다. 사랑을 하고 때로는 질투도 한다. 시기하는 마음도 갖고 있으며 심할 경우 저주를 퍼붓기도 한다. 반대로 따뜻한 인정을 베풀 줄을 알고 약속을 지킬 줄도 안다. 인간 세계에는 법이라는 제도가 있듯이 신들의 세계에서도 그들만의 약속이 있다. 이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그에 합당한 벌을 받게 되어 있다. 이런 그들의 삶이 어쩌면 인간들의 그것과도 너무나 비슷한 모습을 띄고 있었다.

  이 책 <신화의 숲에서 사랑을 만나다>의 저자 최복현은 그 중에서도 신들의 사랑에 초점을 맞추어 책을 펴냈다. 사랑에도 그 종류가 여럿이다. 행복하기만 한 사랑이 있는가하면 고통과 아픔을 수반하는 슬픈 사랑도 있다. 정신적인 사랑도 있고 육체적인 사랑도 있다. 저자는 이 책 속에 열아홉 가지의 그런 다양한 사랑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었다. 그 속에는 신 중의 신 제우스의 사랑 이야기도 있었고, 오리온, 아폴론, 헬레네, 페넬로페, 데메테르, 포세이돈, 디오니소스 같은 낯익은 신들도 많이 보였다. 피라, 비아스, 페로 등 내게는 다소 생소한 이름의 신들 또한 사랑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있었다.




  서로를 너무나도 많이 사랑하던 오디세우스와 페넬로페의 이야기가 있었다. 트로이 전쟁이 일어나게 되자 오디세우스는 전쟁에 참전해야 했기에 둘은 떨어지게 되고 말았다. 전쟁을 승리를 이끌고 다시 돌아오기 위해 배에 올랐는데, 풍랑을 만나 다른 섬에 불시착하고 만다. 그 과정에서 함정, 위기에 빠지기도 하면서 어느덧 20여 년이 흐르게 되었다. 오디세우스에게는 그를 지켜주는 수호신, 아테나가 있었는데 아테나의 도움을 받아 겨우 페넬로페에게 돌아올 수 있었다. 돌아오기까지의 시간동안 수많은 남자들이 그들의 성을 점거하고 페넬로페에게 구혼해오고 있다는 사실을, 그리고 페넬로페는 굴하지 않고 지조 있게 기다리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에 오디세우스는 아들과 함께 그들의 기지를 발휘해 구혼자들을 모두 물리치고 페넬로페와 함께 행복하게 살았다. 페넬로페는 ‘원앙 오리’라는 뜻이란다. 기다림 끝에 낙이 있다고 했던가. 그들의 애틋하고 진실된 사랑은 그렇게 결실을 맺을 수 있었던가보다.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의 이야기 역시 가슴 한 편을 뭉클하게 했다. 리라 연주를 잘하던 오르페우스는 에우리디케와 사랑에 빠진다. 하지만 어느 날 숲에서 그녀는 뱀에 물리게 되고 그 길로 죽게 되었다. 이에 슬퍼하던 오르페우스는 그녀를 찾아 죽음의 강을 건너는 것을 감수하면서까지 저승에 다다른다. 오르페우스는 리라를 연주해서 신들의 영혼의 심금을 울린다. 지하의 신 하데스는 이에 감동해 그녀를 돌려주며 이승에 도착할 때까지 그녀를 돌아보아서는 안 된다고 한다. 그러나 그 사이를 참지 못한 오르페우스는 그녀를 실수로 돌아보게 되고 에우리디케는 다시 저승으로 영원히 떠날 수밖에 없었다. 슬픔에 빠진 그도 역시 결국 죽게 되고 그들은 지상의 사랑을 지하에서 영원히 꽃피웠다고 한다. 정말 절절하고 애틋한 사랑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이런 애틋한 사랑 말고도 비극적이고 읽으면서도 화가 치미는 사랑 이야기도 있었다. 아니 사랑의 탈을 쓴 악마의 이야기라고 해야 더 옳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이들 모두 신의 이야기이기에, 그러면서도 인간의 이야기이기에 신화를 따라 웃고, 때로는 안타까워하며 책을 읽어 나갔다.




  사랑이라는 주제에 맞추어 이야기를 풀어나가니 색다른 맛을 느낄 수 있었다. 저자는 서두에서 밝히고 있다. 신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어느 정도는 저자의 상상력도 가미하고 있다고 말이다. 신화를 즐겁게 읽고 때로는 관심도 많이 갖고 있지만, 그에 대한 해박한 지식은 부족한 편이라 신화와 상상 사이에서 그 경계의 선을 어디에 두어야 할지 분간이 잘 되지 않았다. 그러나 본질적인 바탕은 신화에 두고 있기 때문에 사랑 이야기를 읽는다는 점에서 큰 거부감이 일지는 않았다. 신들의 사랑 역시 인간들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그리고 모든 것은 순수한 마음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책의 곳곳에 그려져 있는 신화 그림 역시 책을 읽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그림을 보면서 그들의 사랑을 머릿속에 그려보기도 하고 나름대로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도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