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아빠 - 사랑과 상실, 그 투명한 슬픔의 기록
패티 댄 지음, 이선미 옮김 / 예담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옆에서 지켜본다는 것, 생각만으로도 슬픔이 가득한 일이다. 지켜보는 것 외에는 죽어가는 사람을 위해 어떤 것도 해줄 수 없기 때문에. 만약 이 책이 소설적이기만 했다면 와 닿는 슬픔이 이렇게 진실 되고 사실적이지는 않았으리라 생각한다.

  얼마 전에 읽었던 책, <포스트잇 라이프>가 떠올랐다. 병에 걸려 죽어가는 엄마를 지켜봐야만 했던 사춘기 딸의 가슴 아픈 이야기였다. 그 책에서는 죽음을 좀 더 객관적으로 다루었던 반면, 이 책은 옆에서 지켜보는 듯한 생생함을 느낄 수 있었다.




  이 책은 저자 패티 댄이 남편의 죽음을 지켜보며 실제로 겪었던 일을 바탕으로 쓴 것이다. 남편의 죽음과 함께 단란했던 세 식구의 이야기가 담긴 에세이다. 비록 피가 섞이지는 않았지만 어렵게 만나, 온전한 사랑으로 행복을 이루고 살던 어느 날, 남편 빌럼이‘글리오블라스토마’라는 병에 걸렸음을 알게 된다. 그들의 행복은 그렇게 조용히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었다. ‘글리오블라스토마’는 모든 기억과 신체활동 능력이 서서히 소멸되는 병이다. 가장 최근의 기억부터 차근차근 사라지는 고통을 겪게 되는데 정말 끔직하고 잔인한 병이다. 사랑하는 사람이 차츰차츰 자신을 잊어간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란 정말 견디기 힘든 일일 것이다.

  어른들은 보통 어린 아이들에게는 죽음을 감춘다. 혹시라도 아이가 상처를 받을까봐 조마조마하며 최대한 밝은 모습만 보고 자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 책의 저자는 소아 상담의사의 도움을 받아 용감하게 대처해나가기로 한다. 바로 아이에게 아빠의 죽음을 솔직히 말하고 천천히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그런 노력이 성인에게 미치는 영향과 같지는 않을 테지만 말이다. 슬픔이라는 것도 배워야 할 하나의 감정이다. 어렸을 때 제대로 배우지 못한다면 어쩌면 슬픔을 표출하는 데 있어서 서툴게 될는지도 모를 일이다. 슬퍼하는 것도 하나의 권리라고 저자는 받아들였다. 그래서 그 권리를 자신도, 그리고 아들 제이크도 누려야 한다고 생각했다.




  만약 내가 어렸을 때 제이크와 같은 일을 겪었다면 나도 제이크처럼 용감하게 받아들이고 대처할 수 있었을까? 아마 못 그랬을 거다. 제이크와 패티 댄, 이렇게 둘이었기 때문에 가능했으리라. 엄마는 위대하다. 저자는 사랑하는 남편을 보낼 준비를 해야 했고, 아빠를 잃은 아이의 엄마가 될 준비를 해야 했고, 남편 없이 독립해야 할 준비까지 해야만 했다. 남편을 잃고 슬픈데다 정신까지 없었을 텐데. 아이에게 혼란을 줄 수는 없었기 때문에 그녀는 참아야 했고, 용기를 내야 했다.

  “내가 죽어도 되겠어요?”라는 빌럼의 말에, 저자도 그리고 나도 눈물을 흘리고 말았다. 이 책은 한 순간에 슬픔으로 몰아넣지 않는다. 천천히 그리고 조심스럽게, 잔잔하게 슬픔에 젖어들게 만든다. 그 속에서 아마 모두는 저자가 되기도, 제이크가 되기도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