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한 발명의 역사 - 동그라미의 혁명 바퀴부터 정보의 바다 인터넷까지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세계사 백과 3
필립 시몽 외 지음, 김영신 외 옮김, 마리-크리스틴 르마이에르 외 그림 / 깊은책속옹달샘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세계사 백과’로 프랑스 초등학교의 부교재로 채택되었다고 한다. 초등학생용이라서 내가 읽기에는 너무 쉽게 느껴질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외국 초등학교에서는 어떤 책을 보는지 궁금한 마음에 읽어보게 되었다. 책에는 큼직큼직한 글씨에 많은 그림과 사진들이 가득했다. 초등학생들의 흥미를 제대로 끌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에너지와 재료, 교통수단, 정보통신, 일상생활용품, 의학, 이렇게 크게 다섯 개의 장으로 나누어 각각의 성격에 맞는 그림, 사진 등이 실려 있었다. 수준에 맞는 책을 만들다보니 깊이 있고 자세한 설명으로 되어 있거나 전문적인 지식을 다루고 있지는 않았다. 하지만 초등학생들에게는 우선 과학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림책을 읽는 듯한 기분으로 과학을 접하면 좋을 것 같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이 바로 안성맞춤이 아닐까 싶다.




  수력 에너지, 풍력 에너지, 대표적인 에너지 자원인 석탄과 석유, 천연가스, 전기, 금속 등이 만들어진 배경과 이용되는 곳을 그림과 함께 동화처럼 설명해서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두 번째 장에서는 교통수단을 다루고 있다. 바퀴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기차는 어떤 과정을 거쳐 발전해왔는지, 자동차의 원조가 된 증기자동차, 그 밖에 비행기와 로켓, 배, 잠수함 등의 많은 교통수단에 대해 재미있게 설명하고 있었다. 분명 초등학생용인데도 불구하고 재미를 느낄 수가 있었다. 세 번째 장은 정보통신의 장으로 가장 오래된 문자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하고 있다. 그 뒤 인쇄술과 전신기, 전화기, 라디오의 발명, 녹음기술과 사진, 영화, 텔레비전, 최근의 컴퓨터와 로봇의 발달 과정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었다. 네 번째 장은 일상생활 용품에 대한 설명으로 시계나 화폐, 전구, 재봉틀, 건축물 등에 대한 지식을 전달해 준다. 그리고 마지막 장에서는 의학을 다루면서 의술의 발달과 치료제의 발견 등에 대해서 설명해주고 있다.

  마지막 부분에는 따로 부록을 두어 연표를 그려놓고 있었는데, 시기별로 차례대로 발명된 순서를 나열해 놓아서 한 눈에 쉽게 볼 수 있었다. 아이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일상생활에서 항상 전화기나 컴퓨터를 사용하고, 문자를 쓰면서도 그것을 당연하게만 여겼지, 그 발명과정. 발전과정에 대해서 궁금증을 가져본 적이 커서는 몇 번 없었던 것 같다. 상상력도 호기심도 자라면서 점점 사라지는 것만 같은 기분이 들어 잠시 초조한 마음도 생겼다. 어디가 아프면 병원으로 달려갈 줄만 알았지, 의술의 발전에 감탄하거나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는 것도 놓치고 있었다. 이 모든 것들의 발명이 없었더라면, 지금의 우리도 없었을 텐데 말이다. 비록 이 책을 읽기에 적당한 나이는 아니었지만, 잘 읽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음으로 해서 물론 새로운 것들도 조금은 추가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모든 걸 당연하게 생각해버리는 사고 자체에 대해서 반성하고 돌아볼 수 있었던 기회였던 것 같아서 더욱 유익한 시간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