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폴레옹 놀이
크리스토프 하인 지음, 박종대 옮김 / 작가정신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나폴레옹의 후계자임을 자청하는 뵈를레.

 양심의 가책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인간. 삶을 하나의 큰 ‘놀이’라고 말하는 인간이다. 그래서 이 책의 제목이 <나폴레옹 놀이>인가보다.




 이 책의 저자, 크리스토프 하인은 매력이 많은 작가인 것 같다. 지금까지 읽은 몇 안 되는 이 저자의 책들은 거의 다 자전적이고 고백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다. <처음부터>나 <낯선 친구> 등이 그런 느낌을 주었던 것 같다. 그리고 실제로 크리스토프 하인은 그의 책 속의 주인공들과 비슷한 삶을 살았다. 목사의 아들이라는 이유로 대학에서 거부되는 이른바 종교적인 박해를 당한 적도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고, 어려서부터 전쟁과 분단의 현실 속에서 살아야 했기에 침묵을 강요받을 때도 있었다. 그런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저자는 자신만의 공간이 필요했을 것이다. 어쩌면 조금은 평범하지 않은 쪽으로 발산이 된 듯하다. 그래서인지 그의 소설 속에 곧잘 등장하는 것이 바로 성에 대한 금기와 정치, 혹은 사회적인 상황에 대한 금기의 폭로인 것 같기도 같다. 이 책에서 주인공은 사랑과 연애의 경험에 대해서도 변호사에게 털어놓고 있는데, 그 내면을 살펴보면, 온전한 것은 찾아볼 수 없었고, 주인공도 거기에서 어떤 만족할 만한 것을 찾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책 속에서 역자도 밝히고 있지만, 여기서의 놀이는 도박이나 게임과도 일맥상통하는 단어이다. 주인공 뵈를레는,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지만 전쟁으로 인해 어렸을 때는 좀처럼 감당하기 힘든 가족의 해체를 겪게 되었고, 새로 만들어진 가정 속에서 자라 변호사가 되었다가 정치계에 입문하기도 한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그에게 일어나는 모든 것을 놀이화시켰으며, 자신은 그 놀이의 주인공이 되는 위대한 놀이꾼이라 생각했다. 그가 후레자식이라고 부르는 이복동생과의 놀이에서의 승리가 어쩌면 그에게 짜릿함을 안겨준 제대로 된 놀이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신기하게도 그는 정말로 천재적인, 명석하면서도 뛰어난 머리를 갖고 있었다.




 그는 사람들을 노예라는 단어로 표현한다. 자유를 찾고 있지만, 실은 억압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그리고 놀이를 그의 당구대 속 당구공과 당구를 치는 사람으로 치환하여 설명하곤 한다. 마지막으로 나폴레옹에 빗대는 것까지. 이렇게 세 가지면 그의 인생과 놀이를 다 설명할 수 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이 책은 뵈를레가 변호사 피아르테스에게 자신의 죄를 합리화시키고 자신을 변호하는 편지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뵈를레는 일면식도 없었던 한 사내를 지하철에서 살해한다. 살인도구는 당구 큐대로, 바크날이라는 남자의 이마를 가격하고 죽인다. 그런데 더욱 놀라운 것은, 그렇게 살인을 저지른 후, 바크날에게 달려들어 마치 자신이 살해하지 않은 양 의사행색을 하며 그를 살려내고자 애썼다는 점이다. 물론 그는 살인죄라는 명목으로 감옥에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그 감옥에서 자신의 현실이 부당함을 호소하고 있다. 그의 편지글은 흥미로웠고, 어렸을 때의 경험으로 돌아가 서술하는 것도 새로웠지만, 끝으로 갈수록 주인공에게 뭔가 보채고 싶고, 빨리 말하라고 윽박이라도 지르고 싶었던 마음이 생겨났었다.

 

 아직도 나는 왜 그가, 자신의 저지른 살해를 살인이라는 죄로 보지 않는지, 어째서 자신의 죄를 합리화시키고, 정당방위였다고 말하는지 이해할 수는 없다. 이게 바로 블랙 유머의 효과일까? 그는 분명, 존재성이 흔들리고 있는 것 같다. 그가 편지의 서두에서 언급했던 괴물이라는 단어가, 바로 이 책의 주인공이자 변호사인, 그리고 저자 자신인 그에게 어울리는 단어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