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이야기 1 - 독일어권 유럽의 역사와 문화
임종대 외 지음 / 거름 / 2000년 9월
평점 :
품절



 고등학교 때 제 2외국어로 독일어를 선택했었다.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독일어라고 해봤자, 아주 기초적인 내용만을 가르쳐주기 때문에, 수업시간마다 선생님께서는 독일어 알파벳인 “아,베,체,데,에,에프,게, ...”를 외우게 하는 것으로 수업을 시작하셨다. 그래서 독일 하면 아직도 그 때 외웠던 알파벳이 먼저 떠오르곤 한다.

 이 책은 1권과 2권으로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둘은 전혀 다른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1권은 독일을 포함한 독일어권 유럽의 역사와 문화를 주로 다룬다. 4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각 독일의 역사, 오스트리아와 스위스와 유대인의 역사와 문화, 독일의 철학과 문학과 예술, 그리고 마지막으로 문화이론에 대해 정리하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자세하고 꼼꼼히 설명을 한다고 해도, 그런 장황한 설명들은 직접 보지 않으면, 제대로 효과를 거두기가 힘이 든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제대로 된 방법을 쓰고 있다. 각 장마다 문화유산이나 건축물, 역사를 담고 있는 연보 등을 실어 시각적으로도 확인시켜주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독일의 성당 건축물들이 장관을 이룬 모습을 볼 수 있어서 좋았고, 처음 보는 BMW 건물 양식이 내게는 독특하고 새로웠다. 이렇게 <독일 이야기>를 쓴 저자 덕분에 앉은 자리에서 독일의 건축물들과, 유물, 풍경들을 볼 수 있어 마치 한차례 가이드를 대동하고 독일 여행을 하고 돌아온 기분이었다.


 독일은 그 신화부터 시작해서, 온전하게 독일만의 것으로 이루어진 게 최근을 제외하면 거의 드물다고 볼 수 있다. 자주 다른 나라의 역사와 겹치고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독일사, 혹은 독일에 관한 연구는 주변 유럽의 국가들과 맞물려서 진행되곤 하는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독일에 관한 역사뿐만 아니라, 스위스나 오스트리아, 유대인들의 그것까지도 함께 다루어서 유익하게 읽을 수 있었다. 특히 유대인의 역사 부분을 읽으면서는, 이 책의 주제가 독일임에도 불구하고, 가슴이 아팠던 것을 어쩔 수가 없었다. 엄청난 박해와 학살이 아직까지도 생생하게 느껴지는 것 같았다.

 세 번째 독일의 철학과 문학과 예술 부분에서는 주로 작품과 인명 위주의 서술이 중심이 되고 있다. 정말 독일은 음악의 나라이고 철학의 나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많은 사람들과 사상을 낳았다. 이름만 들어도 다 아는 칸트, 헤겔, 마르크스를 비롯하여 음악가인 헨델, 모차르트, 베토벤, 베버, 슈베르트, 브람스, 멘델스존, 바그너 등 수많은 ‘위인’들의 이름이 거론된다. 

 마지막 부분인 문화이론이 내게는 특히 인상적이었다. 여러 내로라하는 학자들의 말을 빌려 ‘문화’라는 것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마르크스와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페미니즘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다루고 있다. 좀 놀라웠던 것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었다. 자칫 헷갈리기 시작하면 한없이 구렁으로 빠질 수 있는 이드, 자아, 초자아의 개념을 자세히는 아니지만, 기초적인 틀을 잡을 수 있도록 명료하게 설명한 부분 때문이다. 덕분에 유익한 시간을 보낼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한국과의 관계도 중간 중간 등장하고 있어서 반갑기도 하고 약간씩 흐트러지던 집중력도 다시 높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