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루이스 캐럴 지음, 오은숙 그림 / 별이온(파인트리)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누군가, 나를 위해 책을 써준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 나를 위해 동화를 지어주고, 사람들이 그 책을 읽고 함께 공감하고 재미를 느낀다면. 나는 실제의 앨리스가 아니라서, 어떤 기분인지는 짐작도 못할 테지만, 상상만으로도 가슴 설레는 일인 것 같다. 새삼 그 때의 앨리스가 부럽다는 생각이 든다. 부러운 마음을 갖고서 하드커버를 넘겨본다. 그 속에는 보는 순간 마음을 사로잡는 예쁜, 그리고 환상적인 일러스트가 펼쳐진다. 당장에라도 그 속으로 빠져들고 싶게 만드는 그림들이다.

   

 앨리스는 말하는 토끼를 따라간다. 그곳에서 작은 병에 든 물을 마신 앨리스의 몸은 아주 작아져버린다. 그 뒤에 들어간 작은 정원에서 케이크를 먹고는 다시 어마어마하게 길어진다. 부채질을 하면 다시 작아지기도 하고, 버섯을 먹으니 목이 길어지기도 한다. 이렇게 앨리스는 말도 안 되는 신체적 변화를 겪으면서 또 말도 안 되는 상황 속에 휘말리면서 모험 아닌 모험을 하게 된다.

 

 어렸을 때 이 책을 읽은 기억은 나지만, 읽으면서 어떤 생각을 했는지는 도무지 떠오르지 않는다. 그렇지만, 확실한 것은 지금과는 확연히 다른 느낌을 받았을 거라는 점이다. 솔직히 이번에 다시 접한 앨리스 이야기는 좀 말이 안 된다. 내가 너무 자라버려서 이제는 꼬마 앨리스와 소통이 불가능해진 것일까? 갑자기 우울함이 내 속에서 번져 나오는 것만 같다. 씁쓸한 일이다. 

 

 앨리스는 ‘이상한 나라’에서 여러 모험을 통해 신기한 일들을 겪게 되지만, 그것 못지않게 나를 당황시킨 것은 어마어마한 말장난들이었다. 책 속에서 등장한 말장난들 모두가 완벽하게 이해되지도 않았다. 앞으로도 끊임없이 영어공부를 해야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게 만든 부분이기도 했다. 만약 이 책을 지금 원서로 읽고 있다면, 나는 어떤 기분을 느끼고 있을까? 하고 생각하니, 어디선가 슬며시 나를 향한 조소가 흐르는 것 같다. 

 

 어린이들을 위한 동화를 커가면서도 자꾸 읽게 되는 이유는 뭘까? 동화 속에는 동화 이상의 그 무언가가 들어있는 게 분명하다. 어린이에게는 꿈과 환상을 심어 주지만, 어린이의 알을 깨고 나온 사람들에도 동화는 또 다른 무엇을 쥐어준다. 그것은 동화를 읽는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내게는 순수와 명랑, 그 속으로 돌아가라는 메시지로 다가왔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음, 재미있군, 아이들한테 좋은 동화겠어.’하고 그냥 지나쳐 버린다면, 내게는 아무런 감성을 주지 않았던, 그냥 스쳐지나간 책이 되어버리고 말 것이다. 그러나 내가 이 책을 읽고서 그 속으로 동화될 수 없음을 아쉬워하는 동시에, 순수한 마음과 영혼을 바라는 감성을 갖게 된다면 거기에 이 책을 읽은 새로운 의의가 생기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말로는 온전히 표현할 수 없어 답답한 마음도 있지만, 앨리스는 내게 그런 것들을 주었다. 순수를 잃지 않고 사는 내가 되기 위해 언젠가 또 다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읽어야겠다. 


  “길 좀 가르쳐 줄래? 
    여기서 어디로 가야할지 모르겠어.” 
  “그야 네가 가고 싶은 곳이 어디냐에 달렸지.” 
  “난 어디든 상관없어.” 
  “그럼 네가 가고 싶은 길로 가렴. 
    계속 걷다보면 어딘가에 도착하게 될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