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 보이
팀 보울러 지음, 정해영 옮김 / 놀(다산북스)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성장소설이라는 타이틀을 보고서 지체 없이 고른 책이었다. 그러나 일찌감치 사놓고, 쉽게 첫 페이지를 열 수가 없었다. 팀 보울러라는 작가 이름은 처음이었지만, 『해리포터를 제치고 카네기 메달 수상!』이라는 띠지의 문구만으로도 그 위력을 느끼기에는 충분했다. 사실 판타지 소설류는 원래는 좋아하는 장르가 아니었다. 하지만 해리포터 시리즈를 읽음을 계기로 해서 나는 판타지에 ‘푹’ 빠져버리기까지는 아니더라도 즐겨 읽는 정도는 되었다. 

 ‘도대체 얼마나 스케일이 크기에 이런 호평을?’하는 생각을 하고 숨 한번 크게 들이쉬고 드디어 책장을 넘겼다. 사실, 해리포터 시리즈와는 비교도 안될 만큼 이야기 자체는 작았다. 주인공 ‘제스’는 사실 괴물과 싸워서 이겨내지도, 마법을 부려 세상의 영웅으로 떠오르지도, 선을 위해 싸우는 정의의 용사가 되지도 않는다. 제스는 해리포터가 아니었다. 제스는 여느 청소년들과 다르지 않은 평범한 소녀일 뿐이었다.

 그러나 여기에는 분명 해리포터를 제칠만한 뭔가가 있었다. 그것은 평범한 소녀의 조용하면서도 잔잔한 성장이었다. 이 책의 모티프이기도 한, 유유히 흐르는 강물처럼 말이다. 

 

 죽음이라는, 그것도 아주 많이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이라는, 무섭고도 무거운 소재를 이렇게 담담하게, 그러면서도 편안하게 그려낼 수 있다는 게 놀라웠다.

 제스와 할아버지는 단순히 가족의 구성원으로만 연결된 것이 아니었다. 그들은 남들과는 다른 사랑과 유대의 끈으로 서로를 잇고 있었다. 유달리 수영을 좋아하는 제스와,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고 고집이 센 제스의 할아버지. 사랑하는 엄마, 아빠와 함께 할아버지의 고향으로 여행을 떠난다. 그리고 그곳에서 만난 신비의 ‘리버보이’. 할아버지의 죽음을 통해 겪게 되는 제스의 성장통을 이 책은 조심스럽게, 또 아름답게 만들어나간다.

 제스의 성장 과정 속에서의 고통은 11시간을 수영해야 했던, 신체적인 괴로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비교할 수 없을 만큼의 심리적인 마음속의 괴로움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제스가 성장할 수 있었던 건, 그 고통을 부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강물을 헤엄쳐 앞으로 앞으로 나아갔듯이, 할아버지와 리버보이로부터 그녀는 슬픔을, 그리고 잃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받아들이는 방법을 배운다. 그것들을 이겨내는 방법이 아니라, 흐름에 몸을 맡기는 법을 배웠기 때문에 이 책이 감동을 줄 수 있었던 것 같다. 물살을 거스르고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함께 흘러가는 것의 아름다움을 제스는 깨닫게 되었다.

 변화는 그 정도에 차이는 있겠지만, 누구에게나 두려움을 안겨주는 것 같다. 특히나 나는 변화를 많이 두려워하는 편이다. 변함없는 삶에 안주하는 것이 편안하고, 위험부담도 적기 때문이다. 어쩌면 나는 제스보다도 덜 성숙한지도 모르겠다. 아직 나는 사랑하고 아끼는 사람의 죽음을 가까이서 겪어본 경험이 없다. 하지만, 제스와 같은 상황에 처한다면, 이렇게 의연하게, 그리고 ‘어른스럽게’ 받아들일 수는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리버보이’를 통해서 그리고 ‘제스’를 통해서 적어도 죽음을 꼭 아픔으로만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모든 걸 흐름이라는 것에 맡길 수 있다면 나도 조금은 편하게, 조금은 의연하게 성장하고 나아갈 수 있을까. 

 제스의 ‘리버보이’는 평생 그녀의 마음속에 숨 쉬면서 그녀만의 수호천사가 되어줄 것이다. 


  강물은 알고 있어. 
  흘러가는 동안에 무슨 일이 생기든, 
  어떤 것을 만나든 간에 결국엔 아름다운 바다에 
  닿을 것임을. 
  알고 있니? 
  결말은 늘 아름답다는 것만 기억하면 돼.

 

  모든 강물은 바다로 흐른다. 
  그래도 바다는 넘치지 않는다. 
  어딘가에서 흘러왔던 그 강물은 결국 
  다시 흘러왔던 곳으로 되돌아가는 법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