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동묵시록 - 하
신용우 지음 / 작가와비평 / 2011년 9월
평점 :
소현세자와 효종이 남긴 북벌 계략의 비서를 소설가 '신용우'를 통해 소설 '요동묵시록'으로 세상에 빛을 보게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도 기록되어있지 않은 북벌비서를 저자가 기록을 바탕으로 하여 상상력을 덧붙여 소설로 탄생시켰는데
그 스케일이 과히 대단한다.
'요동묵시록'은 상 하 두권으로 이루어져있는데 한편의 긴 대하역사 사극을 본듯한 기분이다.
저자 신용우는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고 우리 역사의 정통성을 세워 잃어버린 영토를 찾자는 주제로 글을 쓰기로 유명하신 분이다.
그는 ‘천추태후’, ‘요동별곡’, ‘명성황후는 시해당하지 않았다’ 등의 글을 쓰기도 했다.
또 저자는 이 책을 쓰면서 “철저하게 역사를 바탕으로, 특히 조선왕조실록을 바탕으로 해서 썼다”며
“역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이 책을 집필하게된 동기를 밝혔다.
또 이 책을 통해서도 요동이 우리 땅이라는 여러 기록들이 등장한다.
또한 한글이 이미 고조선의 3세 단군 가륵 때 가림토 문자로 창제됐으며, 세종대왕때에는 정리를 해서 반포한 것을 밝혔다는
이야기도 흥미를 자아낸다.
참으로 흥미를 자아내는 역사소설이다.
책을 읽다보면 조선의 역사, 더나아가 고조선의 역사까지도 한눈에 들여다보이는것 같은 기분이다.
이 책의 메시지는 책 제목 ‘요동’과 ‘묵시록’에 담겨있다.
북벌의 대상인 요동은 우리 것이며, 마땅히 수복되어야 한다. 바로 북벌 책략이 그 핵심이다.
이 책은 효종이 비밀문서를 남겼다는 가정하에서 출발한다.
물론 책속의 내용들을 보다가보면 우리가 배워왔던 역사와는 판이하게 다른 내용들이 너무 많이 나와서 참 햇갈리게 하기도 한다.
예를들면 우리에게 나약한 이미지로 남아있는 소현세자가 결코 나약한 인물이 아니라 아주 강인하고 용감하고 추진력이 강한
사람이었다는 것이다
소현세자는 강한 북벌의 의지를 가지고 그것을 추진하려 했다고 썼다.
또 병자호란은 물론 청나라에 볼모로 가서 보여준 그의 용맹성과 반상을 타파하고 실사구시의 나라를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도 밝혀진다.
하지만 볼모생활이 끝나고 환국해서 그 꿈을 펴보기도 전에 독살당하는 장대하고 애절한 이야기도 펼쳐진다.
또한 우리에게 북벌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는 효종의 북벌 비서가 단순히 효종 대에 시작된 것이 아니라
이미 소현세자에서 시작되어 그 맥을 잇고 있던 것임도 밝힌다.
참으로 이 책을 읽으면서 겁이 났던게 내가 아는 역사가 사실이 아닐거라는 생각에 책을 접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도 했었는데,
그저 상상력으로만 쓴것이 아니라 철저하게 연구한 역사를 바탕으로, 특히 조선왕조실록을 바탕으로 해서 썼다고 하니
그게 맞을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하며 끝까지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