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침 저녁으로 샛강에 자욱이 안개가 낀다.
2
이 읍에 처음 와 본 사람은 누구나
거대한 안개의 강을 거쳐야 한다
앞서간 일행들이 천천히 지워질 때까지
쓸쓸한 가축들처럼 그들은
그 긴 방죽 위에 서 있어야 한다.
문득 저 홀로 안개의 빈 구멍 속에
갇혀 있음을 느끼고 경악할 때까지.
어떤 날은 두꺼운 공중의 종잇장 위에
노랗고 딱딱한 태양이 걸릴 때까지
안개의, 군단(軍團)은 샛강에서 한 발자욱도 이동하지 않
는다.
출근길에 늦은 여공들은 깔깔거리며 지나가고
긴 어둠에서 풀려나는 검고 무뚝뚝한 나무들 사이로
아이들은 느릿느릿 새어나오는 것이다.
안개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처음 얼마 동안
보행의 경계심을 늦추는 법이 없지만, 곧 남들처럼
안개 속을 이리저리 뚫고 다닌다. 습관이란
참으로 편리한 것이다. 쉽게 안개와 식구가 되고
멀리 송전탑이 희미한 동체를 드러낼 때까지
그들은 미친 듯이 흘러다닌다.
가끔씩 안개가 끼지 않는 날이면
방죽 위로 걸어가는 얼굴들은 모두 낯설다. 서로를 경계하며
바쁘게 지나가고, 맑고 쓸쓸한 아침들은 그러나
아주 드물다. 이곳은 안개의 성(聖)
날이 어두워지면 안개는 샛강 위에
한 겹씩 그의 빠른 옷을 벗어놓는다. 순식간에 공기는
희고 딱딱한 액체로 가득찬다. 그 속으로
식물들, 공장들이 빨려들어가고
서너 걸음 앞선 한 사내의 반쪽이 안개에 잘린다.
몇 가지 사소한 사건도 있었다.
한밤중에 여직공 하나가 겁탈당했다.
기숙사와 가까운 곳이었으나 그녀의 입이 막히자
그것으로 끝이었다. 지난 겨울엔
방죽 위에서 취객(醉客) 하나가 얼어 죽었다.
바로 곁을 지난 삼륜차는 그것이
쓰레기더미인 줄 알았다고 했다. 그러나 그것은
개인적인 불행일 뿐, 안개의 탓은 아니다.
안개가 걷히고 정오 가까이
공장의 검은 굴똑들은 일제히 하늘을 향해
젖은 총신(銃身)을 겨눈다. 상처입은 몇몇 사내들은
험악한 욕설을 해대며 이 폐수의 고장을 떠나갔지만
재빨리 사람들의 기억에서 밀려났다. 그 누구도
다시 읍으로 돌아온 사람은 없었기 때문이다.
3
아침 저녁으로 샛강에 자욱이 안개가 낀다.
안개는 그 읍의 명물이다
누구나 조금씩은 안개의 주식을 갖고 있다
여공들의 얼굴은 희고 아름다우며
아이들은 무럭무럭 자라 모두들 공장으로 간다.
<안개>는 기형도 시인의 등단 직품이다. 작고한 김현 시인은 그의 시를 두고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미학이라고 하였다. 그의 시가 일상을 낯설게 혹은 기괴하게 만드는 것을 한 말일 것이다.
안개는 읍의 명물이다. 산업사회의 암울한 시대적 표상을 잘 드러내고 있는 서정성이 짙은 안개의 몽환적이고 환상적인 이미지를 낯설고 잔혹한 것으로 드러내고 있다. 더욱이 안개가 끼는 것이 아침 저녁으로 반복되는 일상이라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우리는 일상의 반복을 습관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안개에 노출된 사람들은 오염된 폐수와 공장의 굴뚝에서 뿜어져 나오는 매연이 안개를 이루고 사람들은 습관처럼 무감각하다. 그런 후 문득 안개속에 있다는 것을 경악한다. 이 시가 기괴하고 공포스러운 것은 시적 화자가 추억하는 곳이 이미 지상에 없기 때문이다.
읍의 사람들이 미친듯이 흘러다니는 이유는 무엇일까? 시인은 그 이유를 타인의 불행에 무감각하거나 침묵하는 집단적인 무의식을 안개로 표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안개가 끼지 않는 날은 오히려 낯설고 드문 일인 것이다.
기숙사옆에서 간밤에 겁탈당한 여공이나 쓰레기더미에서 얼어 죽은 취객의 개인적 불행은 역설적으로 안개 탓은 아니라는 말은 안개 탓으로 읽힌다. 그래서 안개는 개인적 불행에 침묵하는 시대적 표상이고 공장의 굴뚝 연기는 하늘을 향에 총신처럼 겨눠져 있다.
산업사회의 무분별한 개발 논리의 시대적 표상을 서정성이 짙은 안개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기형도 시인은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미학의 탁월한 묘사를 보여준다.
몇가지 사소한 사건이라고 말한 여공의 겁탈 사건과 얼어죽은 취객은 안개가 지배하는 그 시대의 삶을 기괴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 역설적인 진술은 사람이 사람으로 대접받지 못하고 쓰레기 취급 받는 부패와 오염의 일상적인 삶의 부작용을 잘 드러내 주고 있는 것이다. 마치 아침에 일어나 학교나 공장에 가듯이 누군가 안개 속에서 죽고 잊혀지고 있는 것이다.
아이들은 자라서 공장으로 간다. 이렇게 시대적 불행이 반복되는 뒤틀린 일상이 무감각하게 받아들여진다면 기숙사 옆에서 겁탈당한 여공의 불행과 쓰레기더미에서 얼어죽은 취객의 개인적 불행이 있는 안개는 걷치지 않을 것이다. 여전히 이 고장의 명물은 개인적인 불행에 무감각한 안개가 될 것이다.
출처 : https://m.blog.naver.com/sllim13/22104323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