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성이란 무엇인가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120
조한상 지음 / 책세상 / 2009년 1월
절판


제1장 공공성의 의미와 체계 13
2.공공성 개념의 역사 17
(1)라틴어publicus 17
3.공공성의 의미 요소 21
(1)공공성의 3요소-인민,공공복리,공개성 21
(2)공공성과 공공복리 23
(3)공개성과 의사소통 29

제2장 공공성과 시민사회 35
1.첫 번째 프리즘-시민사회 37

제3장 공공성과 국가 75
1.두번째 프리즘-국가 77

제4장 공공성과 언론 117
1.세번째 프리즘-언론 119-4-5쪽

2.공공성 개념의 역사 17
(1)라틴어 publicus
우리말의 공공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외국어 표현으로 우선 라틴어의 publicus를 들 수 있다. ......
먼저 publicus는 populus라는 말에서 도출된 형용사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populus는 영어 people의 어원이 되는 개념으로서 단순하게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하지만 로마 시대의 populus는 그냥 사람들이 아닌, 국가 공동체의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정치적 권리를 가진 자유민을 의미했다. 이러한 뉘앙스를 담기 위해 populus는 '인민'이라고 번역되는 것이 보통이다.-17쪽

그런데 당시 로마에서 인민은 곧바로 국가를 형성하는 주체로 여겨졌다. 즉 로마 사람들은 인민이 구성하는 인적 단체와는 별도로 또는 그것을 초월해 존재하는 추상적인 국가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따라서 로마의 인문 populus Romanus이라는 말은 곧 로마라는 국가 공동체의 공식적인 표현이었다. 이에 따라 populus는 자동적으로 '국가의'라는 의미도 내포하게 된다. 인민이 곧 국가인 셈이다.
이러한 의미의 전용은 당시 다양한 개념에 영향을 미쳤다. 공화국 Republic이라는 단어의 어원이기도 한 res publica는 당시 국가를 의미하는 또 다른 표현이었으며, ius publicum은 국가의 법을 의미했다.-18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풀먹는사자 2010-04-14 14: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입니다. - 노무현"
결국 기본소득제도 외에는 답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