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인송
켄트 하루프 지음, 김민혜 옮김 / 한겨레출판 / 201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4월 29일 완독

플레인 송
‘ 고대부터 기독교 교회에서 쓰인 단선율의 성가
단수낳고 꾸밈없는 멜로디 혹은 분위기 ‘

첫문장,
톰 거스리는 홀트의 자기 집 부엌 창문 앞에 서서 해가 막 떠오르는 뒤뜰을 내다보며 담배를 피우고 있었다.



어느 독자의 리뷰에
이런 일이 설마 진짜로 있을까 ?
라는 글이 있었다.

좀 비겁하기도 하고 비열할 수도 있는데
나는 그 문장에 대고
아닛. 이 정도의 삶도 생각하지 못하고 살다니.
라고. 생각했다.
삶이 치열하고 삶이 꾸질거려도
이 정도는 보고 살아야하지 않겠나 독자여.
그래야 세상이 뭐가 어떻게 됐든 좀 낫겠지.
당신이 생각하는 것만큼 그렇게 작지가 않다네.

이 정도가 인간의 삶이지 뭐 다를 바가 있나.
열일곱의 임신한 소녀는 자신의 엄마에게선 버림받았고
학교에선 힘들고
그나마 믿을만한 교사는
그 믿을만한 인간임을 증명하기 위해 맥퍼런 형제에게 그 소녀를 맡긴다.
다 늙은 아저씨 2명과 소녀의 삶은
그 자체로 안정적이다.
그 누가 어떻게 생각하든 상관없어.
난 빅토리아가 더 이상 상처 받지 않길 바래.
맥퍼런 형제가 주고 있는 사랑이
모든 어른들은 당연히 갖고 있어야 하는 사랑이라 생각한다.
나도 가끔 빅토리아의 어떤 문장에 대고선,
이년이...
라고 생각했다.
아마 난 맥퍼런 형제만큼 늙지도 않았고 좋은 어른도 아니겠지.

좋은 책이었다.
4월 중 꼭 다 읽고 싶었는데
정말 4월 거의 마지막에 다 했다.

바비와 아이크도 꼭 좋은 어른으로 크길.
농장의 어른으로 크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