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꿈 스타벅스 건물주
전재욱.김무연 지음 / 메이트북스 / 2023년 3월
평점 :
나의 꿈
스타벅스 건물주
[스타벅스 건물주가 된 사람들의 성공 비결]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l/e/les7188/temp/IMG_20230330_180124.jpg)
나의 꿈 스타벅스 건물주
저자
전재욱, 김무연
출판
메이트 북스
발매
2023.03.01.
스세권에 사십니까?
스타벅스가 어디에 얼마나 분포하는지 걸어서 스타벅스를 갈 수 있는
동네에 사는 걸 말하는 스세권!!! 이라는 단어가 책에서 나오니
반갑더라고요
남양주 평내에 살 때는 스타벅스가 없었고
하남 바로 옆 동네로 이사 와서 십 년이 지나서야
미사 단지가 생기면서 인구가 증가하니
하나둘씩 생기는 스타벅스가 근방에 무려
11군데나 늘어났습니다
아니 사람들이 스타벅스만 가나 싶을 정도로 많이 생겨서
편하기도 하고 과연 사람들이 그만큼 이용을 할까? 생각도
들었는데 주말에 가서 보면 매장 안에 사람이 꽉 차서
앉을 자리도 없더라고요
최근에 생긴 강일역 스타벅스는 1층이고 매장이 엄청
넓은데도 진짜 만석이라 앉을 자리가 없습니다
그만큼 대중화가 많이 되고 근거리에 위치해 있어서
눈에도 익고 사람들이 편하게 많이 찾는 곳이라고 생각이 드는
장소입니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l/e/les7188/temp/IMG_20230330_180154-vert.jpg)
스타벅스 건물주의 비밀을 대한민국 최초로 밝혀낸 책이라는데
의의가 있는
"나의 꿈 스타벅스 건물주"
전재욱 김무연 두 분이 사비를 털어서 직접 발로 뛰어 조사해
통계를 얻어낸 도서라 더 의의가 있는 것 같다고 느껴졌습니다
스타벅스 매니아들의 카페에 가입되어 있어서
행사할 때 남들보다 먼저 빠르게 정보를 얻고
시즌 음료나 별 쿠폰 자기만의 커스텀 음료를 마시는 법
덜 달게 아니면 특색 있게 마시는 나만의 음료를
만들 수 있는 것이 특색이 있어서 스타벅스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아침저녁 두 번씩도 들러서 마시고 시간을 보내곤 합니다
초창기처럼 고가의 이미지에서 지금은 많이 친숙해진 이미지인데
1999년 출점 시작 때부터 이야기를 풀어나가서
지금 현재 2023년에 이르기까지 매장을 오픈하고 운영해나가고
어느 지역에 스타벅스 매장이 많은지 아니면 적은지
평균화 평수에 거의 비슷하게 지어진 매장은 어디인지.....
코로나 때문인지 DT의 강세도 만만치 않습니다
첫 단추는 스타벅스가 어디에 얼마나 분포하는지?에 관한 이야기로
시작됩니다
공간(17개 시도부터 출발해 시군구까지 내려간다) 과
기간(1999년 출범 시작~2021년 12월 23일 속초 교동 DT까지)
총 1.653개 점포를 대상으로 통계를 내서 작성한 것입니다
폐점 매장 246개는 제외했다고 합니다
인구가 몰린 서울에 스타벅스 매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7.3%라고
합니다
서울처럼 매장이 인구를 앞선 곳이 부산 광주 대전 제주 세종이고
상권= 정주인구+유동인구인데
서울로 통근 통학하는 인구만 143만여 명이라고 합니다
통계를 내고 그것을 분석하고 어떻게 하면 건물주가 되고 성공할 수 있는지
에 대해 1부터 자세히 알려주는 도서이다 보니 거의 소수점까지 다 알려주는
부분이 많더라고요
인구 가운데 93.1%는 스타벅스 매장이 있는 시. 군. 구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고
6.9%는 그렇지 못한 지역에 전입해서 살고 있다고 합니다
상대적으로 매장이 부족한 지역은 전북이고 피지오 음료를 마시는 걸
기준으로 해서 다른 매장에서 마시고 싶어서 찾아 나서면 90km를 찾아
이동해야만 마실 수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피지오 음료는 탄산음료인데 매장마다 다 있는 음료가 아니어서
조금 음료 선정이 아쉽긴 했습니다)
매장이 쏠림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인구' 와 '땅값'이라고
그리고 '접근 가능성'과 '인구 확장성'이라고.....
그래서 서울보다 지방에 스타벅스 매장이 몰리는 경향이 강해졌다고 합니다
하남도 인구가 너무 늘어서 한산했던 도로가 출퇴근 시간에 엄청 막히거든요
1999년 스타벅스가 영업을 시작한 이후로 서울이 1위에서 밀린 건
2019년~2020년이 처음이라고 합니다
경기가 서울을 처음으로 역전한 배경은 'DT'매장 때문이라고 하는데
지방에서 가장 늦게 생긴 매장은 세종청사점인데 세종시가 2012년 7월에
출범한 신생 도시이기 때문입니다
서울에서는 땅값이 비싸고 교통체증 때문에 다티 매장이 어렵고 전체
다티 매장 중 5%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스타벅스는 현금 없이 카드나 앱으로 주문을 하는 것으로 유명한데
현금을 받는 매장이 있다고
주한미군 내 스벅 매장이 그렇다고 합니다
스타벅스의 미군 사랑도 들을 수 있었고. 미국계 기업인 부평 GM 점도
임직원에게 5% 할인 혜택을 주는 매장이라고 합니다
특별한 매장 이야기도 재미있게 읽었고 스타벅스를 유치하면 그
건물 값이 오른다는 떠도는 전설에 관한 이야기도 하고 있습니다
스세권을 말하면서 익숙한 스타벅스 간판을 찾아서
스타벅스를 찾는 까닭은 뭘까 생각해 보면 아메리카노라는 음료에
익숙지 않았던 시절에 미국식 카페 문화를 처음으로 도입해서
최고의 카페 브랜드 이미지로 간직하고 있어서라고 합니다
남양주 화토 DT 3층 건물을 스카이 밸류가 건물을 지어서
스벅 임차한 뒤 매각을 부부에게( 6개월 만에 매각) 했는데
차익을 14억을 냈다고 합니다
개그맨 박명수 씨의 부인 한수민 씨가 성신여대 근처에 있는
꼬마빌딩을 매입해서 스벅 입점 후 18억 차액을 2년 만에 남겼다는
이야기도 워낙 유명해서 많이들 알고 계신데 이 책에서도 알려주시네요
스벅이 들어서면 상권이 살아난다는 인식이 있어서
두 분이 입점 전. 후 1년간 공시지가 유동인구 동종업종 이종업종을 조사해
봤지만 크게 변하지는 않았다는 연구결과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누구에게나 열려있지만 누구나 되진 않는
스타벅스 건물주가 되는 방법
입점 성공 노하우
스벅 홈페이지에서 신규 입점 제의 상담 신청란을 통해 신청하면 점포개발팀의
심사를 거쳐서 진행되는 과정을 자세히 알려주고 있고
밀려드는 입점 신청으로 인해 조직 전체가 몸살을 앓을 정도라고 합니다
스타벅스는 자기 건물이 없고 임차 정책만 고집하는 것이 매장을 끊임없이
늘리기 위해서라고 하는데, 한국적 특수성에서 빛을 발했다고...
프랜차이즈 사업을 하려면 지점 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해서 영업권을
보장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스타벅스와 계약하는 노하우를 부동산에 관한 이야기(전세권, 임차권, 근저당권)
를 하는 부분은
조금 어려워서 따로 공부해 봐야 할 것 같았습니다
절세를 하기 위해 개인보다는 법인이 임대인인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
연예인 부부가 빌딩을 매입하는데 개인 이름으로 매입하지 않고
회사 이름으로 매입한 것과 같은 원리라고 설명하니 이해가 쉽게 되었습니다
스타벅스를 여러 매장 가지고 있는 복수 소유자에 대한 이야기도 재미있게
읽어볼 수 있습니다
스타벅스 커피 한잔 가격이면 나도 스타벅스 건물주!라는 목차의 5장이
제일 흥미진진한데 여러 스타벅스 건물주의 케이스를 들어
스타벅스 건물주가 되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으니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한번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나의꿈스타벅스건물주#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전재욱#김무연#메이트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