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성격 찾기 - 자기 발견을 위한 성격심리학
엘리자베스 푸틱 지음, 이미정 옮김 / 동행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성격은 개인의 특질을 말한다. 우리는 그것을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성격이 급하다 차분하다 등등. 성격은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개인만을 놓고 봤을 때는 그것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없다. 그렇기에 우리는 대인 관계에서 개인의 성격을 좋다 나쁘다고 평가한다. 다수를 이롭게 하면 좋은 것이고, 그렇지 못하면 나쁜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이 또한 평가 기준이 분명하다고 할 수 없다. 그 평가 기준은 다수의 성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어쨌든 성격은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그것을 어떻게 가꾸어 나가느냐에 따라 - 비약 시키면 - 개인의 인생이 달라진다.
그렇다면 성격의 종류는 몇 가지가 될까? 성격을 세세하게 분류하면 다 헤아릴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몇 가지로 크게 분류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나의 성격 찾기'
이 책에서는 성격을 크게 7가지로 구분한다. 그것은 '장인형', '학자형', '제왕형', '봉사자형', '현자형', '성직자형', '전사형' 이다. 여기서는 이러한 7가지 성격 각각의 기질과 부정적 극단에서 탈출하는 방법, 직업, 의사소통 방식, 사랑 등에 대해 분석한다. 처음부분에 있는 테스트지를 통해 자신의 성격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유형 분석을 읽다보면 맞다고 맞장구를 치게 될 것이다. 물론 몇몇 부분에서는 다르다고 생각 할 것이다 .여기서 제시하는 성격 유형의 분류법과 분석이 절대적이지는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정한 방법에 따라 나눈 것이기에 자신의 본성을 찾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담아야 할 내용은 많고, 지면은 한정 되어 있어 각각의 유형을 자세히 분석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지만 자신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는 부족함이 없다.
사람은 저마다 성격이 다르다. 그렇기에 어느 성격이 가장 좋다고 말할 수는 없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성격이 좋은지 나쁜지를 살피는 게 아니라 자신의 성격 중 대인 관계에 있어 어느 것이 장점이고, 또 어느 것이 단점인지 파악하는 일이다. 자신의 성격을 정확히 파악하여 장점을 부각시키고, 단점을 상쇄시키는 노력은 분명히 필요하다. 왜냐하면 그에 따라 대인 관계가 달라지고, 나아가 - 그것을 확대하면 - 인생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자신의 성격을 제대로 알기 위해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는다. 성격을 보완하기 위해 아무런 시도도 하지 않는다. 대부분은 기껏해야 자신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으로 그치고 만다. 물론 성격을 고친다고 대인 관계와 인생이 바로 바뀌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분명한 것은 성격을 보완하면 대인 관계와 자신의 인생에 임하는 자세도 조금씩 바뀔 것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더 나은 삶을 가져다주는 초석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