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에 피다 - 뉴 루비코믹스 1142
쿠니에다 사이카 지음 / 현대지능개발사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우리는 많은 것을 원하며 살아간다. 그중에는 내 능력으로 가질 수 있는 것도 있고, 가질 수 없는 것도 있으며, 애초부터 원해서는 안되는 것도 있다. 물론 이런 욕망이나 소망이 인간 사회를 발전시켜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란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우리는 가질 수 없는 것이 더 많다. 아무리 애를 써도 가질 수 없는 것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란, 아예 포기해 버리거나 무리수를 써서 억지로라도 취하는 것이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 대개 비극의 결말을 맞게 된다.

표제작 <봄에 피다>는 어린 아이의 눈으로 본 어른들의 기묘한 사랑이야기이다. 어린 시절 꿈처럼 흘러갔던 시간 속에서 본 악몽같은 순간. 가질 수 없는 것에 대한 욕심이 불러온 비극은 시간을 흘러 반복된다.

이 단편을 보면서 느낀 건 이런 비극의 악순환은 단순히 '핏줄'의 문제는 아닌 것 같다는 것이다. 물론 정신질환 같은 것이 유전되기도 하지만 이건 두 사람의 선택이었으니까. 자신의 욕망을 '핏줄'의 탓이라 하며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는 건 비겁한 일이다.

<당연한 결말>은 이 단행본에 수록된 단편 중 밝은 편에 속하는 작품이다. 자신이 가질 수 없는 것에 대한 깔끔한 포기란 것이 의외로 유쾌했다. 물론 잊을 수 없는 추억을 남겨준 건 귀엽지만은 않겠지만.

<열 세 밤의 환등>은 일본 드라마 '기묘한 이야기'에나 나올 법한 설정이랄까. 난 이런 게 참 좋단 말이지. 물론 사랑보단 집착에 가까운 피안의 행동이 좀 무섭기도 하지만, 한편으론 가엽달까.

<족쇄 혹은 속박>은 그냥 그런 납치 감금물이라 생각했는데, 의외의 반전에 즐거웠던 작품이다. 납치 감금물을 보고 '즐겁다'라고 말하는 내가 좀 이상해 보이긴 하겠지만, '반전'이 즐겁단 의미. (내가 왜 여기서 이런 변명을 하는 거지?)

<꿈 꾼 후에>역시 반전이 숨어있었지만, 그 반전보다는 꿈이란 게 더 재미있다. 그 뭉글뭉글한 '천사같은 것'의 존재 역시 마찬가지로 재미있달까. 아마도 이 남자는 이 꿈에서 깨고 싶지 않았을 듯.

<손바닥 위에>는 사랑할 때 느끼게 되는 자격지심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런 생각은 안하는게 좋아, 하고 싶지 않아, 라고 하면서도 어쩔 수 없이 그쪽으로 생각이 흘러가는 건, 참.

읽고 나서 리뷰를 쓰기 전까지는 이 단행본에 수록된 작품이 거의 다 시리어스계라고 생각했는데, 리뷰를 써보니 반반이로구만. 역시 시리어스계가 인상에 더 많이 남는다는 소리일지도 모르겠네.

그리고, 작가 후기를 읽다 문득 든 생각. 승마할 때 기수들이 **을 사용하는 장면을 떠올렸다면 그 장면이 판타지로 그려지진 않았을 텐데요... (아하하) 뭐 그렇다구요. (난 가끔, 이런 걸 순식간에 떠올리는 내가 무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