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모퉁이의 우리들
나카무라 아스미코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1년 8월
평점 :
품절


사람은 늘 아쉬워하면서 살아가는 존재인가 보다. 시간이 흘러 비로소 소중함을 깨닫게 되어 지난 시간을 그리워하고, 지난 시간을 그리워 하니까.

<아베 소년과 쿠로하 소녀>는 선생님과 제자, 그리고 그들을 지켜보는 한 여학생의 이야기다. 사제관계라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조금은 불편하고 어려운 관계라 생각한다. 그리고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분명한 선이 존재한다고 여긴다. 그래서 그 선을 넘는 사람들을 색안경을 끼고 바라보게 된다. 하지만 정말 그 선을 넘는 것이 불순하기만 한 걸까? 쿠로하 소녀는 담임 즈카쌤과 학급위원인 아베 소년의 미묘한 관계에 대해 우연히 알게 되고, 처음에는 보통 사람들과 같은 반응을 보이지만 이들을 지켜 보면서 다른 감정을 느끼게 되고, 급기야는 이들의 사이에 도움까지 주게 된다. (도움이라고 하기는 좀 그런가?)

이 작품은 언젠가의 이별을 상정한 채 만나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좋아하지만 결국은 안된다는 걸 알기에. 그게 겁쟁이처럼 보일 수도 있겠지만, 어떻게 보면 아름다운 추억으로 남겨질 일이 될 수도 있다.
이들은 이 만남을 미련과 아픔으로 마무리하기 보다는 소중한 기억으로 마무리했으니까.

<불청객 흡혈귀>는 대학 교수와 그를 찾아온 흡혈귀가 그 주인공으로 나카무라 아스미코의 색깔 - 작가의 기본 서식지인 BL삘 - 이 가장 많이 드러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의 재미는 반전에 있다. 두가지의 반전.

<모두가 반짝반짝>은 딸바보 아빠 이야기이다. 유치원에 다니는 딸을 둔 아빠가 유치원의 미남 선생님에게 질투를 하는 모습이 유쾌하기도 하지만 딸에 대한 지극한 사랑이 느껴져 무척이나 따스했다. 아이를 가진 부모는 자신의 아이가 무럭무럭 성장하는 것이 무엇보다 대견하지만 때론 너무 빨리 자라나기 때문에 그 모든 시간이 아쉽다고 한다. 딸바보 아빠 역시 그런 인물이다. 때론 아빠의 로망이 무너져 어른스럽게 굴지 못하기도 하지만, 그건 아마도 지금 이시간이 흐르면 다시는 되돌아 갈 수 없다는 걸 알기 때문일 것이다.

<벚꽃 바랑에 피는 등>은 오랜만에 재회한 소꿉친구의 이야기와 브라더 컴플렉스를 가진 소녀의 이야기가 동시에 진행된다. 오빠를 너무나도 좋아하는 요코, 그리고 그런 요코를 따스하게 감싸주는 마리. 난 오빠가 없어서 - 심지어 언니도 없다. 첫째이기 때문에 - 브라더 컴플렉스란 걸 잘 모르겠지만 때론 오빠가 있었으면 좋겠단 생각을 하고, 다정한 오빠를 가진 아이가 부러운 걸 보면 나도 이런 타입의 아이가 되었을지도... 음, 나의 형제자매가 결혼을 한다는 건 분명 축복할 일이지만, 유난히 사이가 좋았다면 요코처럼 떼를 쓸 정도로 상심할지도 모르지. 그래도 요코곁에 마리가 있어 다행이야.

표제작인 <길모퉁이의 우리들>과 <흔들리는 우리들>은 학원제를 두고 건 내기가 우연찮게 소중한 인연으로 이어진다는 내용이었다. 이 내기가 없었다면 소심한 성격의 아유미는 미도리에게 좋아한단 고백도 못했을 걸. 근데 난 나머지 둘인 몬짱과 사야가 연결될 줄 기대했더니, 또다른 반전이...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작가의 작품이다.

이 단편집에 수록된 작품 중 <불청객 흡혈귀>를 제외한 작품들에는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순간을 보내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고교생, 매일매일 조금씩 성장해가는 딸아이들 둔 아빠, 늘 자신곁에 있을거라 생각했던 오빠의 결혼에 상심하는 여동생 등은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시간을 보내는 중이다. 늘 같을 거라 생각했는데, 너무 빠른 변화가 허탈해지는 건 세상 모두의 마음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렇기에 모든 순간이 소중하게 여겨져 더 열심히 사랑하고, 더 열심히 지금을 살아가는 것이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